새정치민주연합의 혁신안이 당무회의를 통과하고 어제 중앙위원회에서 의결됨으로써 사무총장제가 폐지되었다. 그러나 혁신안이 통과되었어도 현역 평가위원회 구성과 최고위원제 폐지 등 공천과 관련한 예민한 사안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어 계파갈등이 가라앉기를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 사안마다 주류와 비주류가 대립하고 갈등을 겪다 보니까 유승민 정국에서 나타난 여권의 갈등 국면에서도 당의 지지도가 상승하지 못하는 구조적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

신당 분당론이 수그러지지 않는 마당에 혁신안이 통과되었다고는 하나 원심력이 작용할 부정적 측면이 더 노출될 개연성이 높다. 선출직 평가위 구성과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실시 여부 등도 뇌관이 될 변수들이다. 특히 선출직 평가위에 대해서 비주류의 반발이 크다. 평가위의 구성권한을 문재인 대표가 행사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최고위원제 폐지도 대표의 권한을 더욱 강화할 뿐이라는 비주류의 생각도 당내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 사무총장제가 폐지되고 본부장 인사를 새로 하는 과정에서 또 다시 주류와 비주류가 충돌할 수도 있다.

당장 직면한 문제가 신당 분당론이다. 자금과 명분, 신당을 이끌 구심점이 여의치 않기 때문에 신당을 만드는 일이 쉽지 않다. 그러나 호남에서 새정치연합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호남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신당 창당이 힘을 받을 수도 있다. 혁신안을 계기로 당이 환골탈태하고 정부 여당의 정책과 정치적 이슈에 대해 단일대오를 형성해도 모자란 형국이다. 그런데도 주류와 비주류가 사사건건 정치공학적 득실에 매몰되어 있으니 지지율이 오르지 않는 것이다.

비주류는 내년 총선거의 공천학살을 의식하고 있다. 어떠한 혁신안이 나와도 주류가 공천권을 행사하고 당내 기득권을 거머쥐려한다는게 비주류의 기본 관점이다. 당장 국정원 해킹 정국에서도 새정치연합은 문제의 핵심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분당론을 주장하는 세력과 당 주류가 끝장 토론이라도 해서 갈등을 봉합하든지 갈라서든지 하는 게 맞다. 혁신안의 내용은 사태를 해결하는 요인이 아니다. 새정치연합의 지도부와 비주류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고민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