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오늘 공식 출범한다. 이로써 전국 17개 시·도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출범이 마무리된다. 박근혜 정부 들어 일상화된 용어 중 하나가 바로 ‘창조경제’다. 창조경제는 박근혜 정부의 경제분야 국정철학이 집약된 용어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이 같은 국정철학을 실현하는 데 교두보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그런 만큼 이번에 출범하는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에 거는 기대가 크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는 물류산업에 첨단기술이 접목된 스마트물류 신산업 육성, 중소·벤처기업의 수출물류 경쟁력 제고, 한·중 스타트업 교류협력 플랫폼 구축 등의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고 한다. 공항과 항만이 입지해 있는 데다 중소기업이 밀집해 있고 중국과 가까운 인천의 특성을 반영한 적절한 아이템이라고 여겨진다. 혁신센터는 지역경제 혁신주체간 연계·협업을 통해 특화된 전략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기구다. 지자체·전담기업이 힘을 합쳐 지역에서 성공스토리를 만들어내고 확산시키는 거점으로의 역할을 하게 한다는 게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설립 취지다. 이러한 취지를 제대로 살린다면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끄는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마련되는 셈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개념의 혁신기구로 자리를 잡을지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무엇보다 정권이 바뀌어도 유지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성급한 평가이긴 하지만 앞서 문을 연 타 지역센터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아직 체감하지 못하는 것도 한 요인이다. 혁신센터가 정권교체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어야 한다. 이는 전시행정에서 흔히 차용하는 애매모호한 성과가 아닌 실질적으로 측정가능한 구체적인 성과이어야 한다.

사실 그동안 ‘창조경제’는 개념 자체가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주관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가 출범할 당시에도 ‘미래’나 ‘창조’라는 추상적인 개념이 정부 조직의 이름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있었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이 같은 우려나 회의적 시각을 불식시키는 인상적인 결과물을 내놓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