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가 현실이 됐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5분기 연속 0%대에 그쳤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에 따르면, 2분기 GDP는 전분기에 비해 겨우 0.3% 증가하는데 그쳤다. 분기 기준으로 지난해 4분기를 빼면 6년여 만에 최저치다. 분기 성장률은 2012년 3분기 0.4%에서 2013년 2분기 1.0%로 올랐으나 같은 해 3분기와 4분기에 0.9%를 각각 기록했다. 이어 작년 1분기엔 1.1%로 약간 반등했지만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분기엔 0.5%로 떨어졌고, 3분기엔 0.8%를 기록했다. 이어 4분기엔 0.3%까지 내려갔고, 올 1분기엔 0.8%를 기록했다.

수치만 보면 대다수 경제전문가들이 걱정했던 저성장 고착화가 현실이 됐다. 한국은행은 2분기 성장률 원인으로 메르스사태와 가뭄으로 인한 소비 둔화를 꼽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아 보인다. 정치 경제 사회 등 종합적으로 모든 게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느낌이다. 그만큼 상황은 생각보다 매우 심각하다.

그런데 우리 국민들을 더욱 우울하게 만드는 것은 국회의 행태다. 메르스 사태와 가뭄 피해 극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처리가 여·야간 이견으로 난항을 겪는 것을 보라. 새정치민주연합이 추가경정예산안의 국회 통과 전제조건으로 이명박 정부에서 22%로 낮춘 법인세율을 25%로 원상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 현장 방문조사를 얘기했던 새정치연합은 이제 와서 국정원장 청문회와 현안질의를 먼저 해야 한다고 주장, 국회는 사실상 휴점 상태다.

메르스 사태가 이번 추경을 만들었지만 지금 추경 집행의 골든 타임을 놓치면 효과는 크게 떨어진다. 추경은 늦어도 내달 초에는 필요한 곳에 투입돼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시기가 늦어질수록 효과가 떨어지는 만큼, 단 하루라도 빨리 집행해야 한다. 추경으로 총 22조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붓고도 정치권의 정쟁에 부딪혀 기대하는 경기 진작 효과를 거둘 수 없다면 그 책임은 모두 여·야 정치인이 져야 한다. 경제성장률이 무려 5분기 연속 0%대인데 정치권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으니 그저 개탄스러울 뿐이다. 도대체 어느 나라 국회이며 정치인인지 이들의 뼈아픈 각성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