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휴가철을 맞아 유통업체들의 막바지 판촉전이 한창이다. 롯데백화점이 가장 적극적이다.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전시장에서 각종 용품을 최대 85%나 깎아주는 이벤트에다 명품할인행사도 2주 앞당겨 실시 중이다. 신세계와 현대백화점, 이마트, 홈플러스 등도 유사한 내용으로 여름 손님을 끌어들이느라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상반기 매출 하락세를 만회하기 위한 고육책이다.
2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0.3%로 5분기 연속 0%대를 기록했다. 민간소비는 0.3% 감소했으며 순(純)수출은 마이너스 0.2%인 것이다. 산업전반이 부진한데다 가뭄으로 인한 농업생산의 두 자리 수 감소 영향이 크다. 특히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에 따른 민간소비감소는 예상보다 훨씬 컸다. 관건은 메르스 쇼크에서 벗어난다고 해서 ‘한국경제가 회복세로 돌아설 수 있는가’하는 점이다. 7월 들어 소비심리가 미세하나마 개선되었으나 금년도 월평균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2012년 12월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소매유통업 경기가 3분기에 다시 위축될 수도 있다는 전망은 점입가경이다. 2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944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3분기 경기전망지수(RBSI)가 전 분기보다 4p 하락한 96이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정부전망치 3.1%는 물론 한국은행의 수정전망치인 2.8% 달성도 어려울 것이란 주장도 불거지는 판이다. 중장기 저성장국면 고착화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9일 박근혜 대통령이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서라도 내수 진작에 나서라”고 정부를 압박하고 나선 배경이다. 민간소비가 경제성장의 주된 동력인 탓이다.
일자리 확대 및 가계소득 제고가 정답이나 당장 소비자들의 지갑을 여는 것이 더 시급하다. 가계부문에 쌓인 여윳돈 규모가 3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 중이다. 30조원에 육박하는 돈이 생산활동에 흘러들지 않고 은행에서 잠자고 있는 것이다. 고용불안과 소득증가율 둔화, 노후대비 등 미래불확실성 때문에 곳간에 쌓아놓기만 했다. 응급처방으로 신용카드의 소득공제 폭을 한시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해 봄직도 하다. 은행권의 거치식 가계대출 심사강화로 인한 소비위축에도 주의를 당부한다.
소비심리 회복 위한 긴급 처방 내놔야
입력 2015-07-26 20:0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7-27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