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일부 자치구 단체장들의 행보에 불협화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연수구의회에서는 ‘구청장 규탄 결의문’을 채택하는가 하면, 동구청장은 ‘괭이부리 쪽방촌 체험관’ 사업 등과 관련해 지역 시민단체들과의 마찰이 심각한 수준이다. 단체장들의 행보가 주민단체들과 번번이 부딪친다면 단순히 의욕과잉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이라 하기 어렵다.

특히 남동구청장은 취임 직후부터 공무원 노조와 충돌하면서 ‘독선행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는데, 최근에는 구청내부 직원의 불만뿐 아니라 주민단체로 확산되고 있는 형국이다. 직원들과는 구청장취임 직후에 전직원에게 근무복 착용을 지시하고, 여성사무관들을 전원 동장으로 발령 내는 등의 일방적 행정지시로 마찰을 빚어 왔다. 시대착오적이거나 인권 침해의 소지가 다분해 보인다. 이 같은 마찰은 남동구 공무원노조 사무실 폐쇄를 둘러싼 충돌이 이어지고 이 과정에서 노조간부가 부상을 입는 사태까지 발생하였다.

또 남동구청은 주민참여예산제의 대폭 축소 사안을 둘러싸고 마찰을 빚었으며, 인천대공원 캠핑장 운영사업자의 등록거부 건도 합리적 행정이라 받아들이기 어렵다. 구월지구 아시안게임 선수촌 아파트 인근의 유흥업소 인허가를 둘러싸고도 주민들의 집단민원이 거세다. 선수촌 아파트 숙박·위락업소 인허가 문제는 인천시가 지구단위계획 과정에서 제대로 검토하지 못한 탓도 크다. 최근 시민단체들은 온라인을 통해 장석현 남동구청장을 규탄하는 서명운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주민소환운동도 불사하겠다는 태세다.

단체장이 여론만 살피다가 정작 필요한 일을 제때 하지 못한다면 그 역시 무능하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그렇다고 밀어붙이기식 행정은 더 큰 갈등만 빚을 뿐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단체장들은 본인의 의욕을 앞세울 게 아니라 주민들의 의사를 먼저 살펴야 한다. 주민과 불화한다면 누구를 위한 단체장인가라는 질문에 답해야 할 것이다. 또 구정을 집행할 공무원들과 불화한다면 무슨 수로 구정을 펼칠 것인가. 견해가 다르다면 대화와 설득을 통해 견해차를 좁혀나가야 한다. 단체장의 역할 중 하나는 이해당사자들의 갈등을 조정하는 일이다. 의욕과 추진력은 소통과 대화를 통해 ‘민심을 확인한 뒤’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