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 발 벗고 나선 모습이다. 삼성은 지난 16일 앞으로 2년 동안 3만개의 일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계열사 상당수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했거나 할 예정인 SK 역시 이날 청년 고용확대와 고용안정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전 계열사로 확대키로 했다. 현대차는 이미 지난 주 모든 계열사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으며, LG·롯데·GS그룹 등도 임금피크제 신규 도입 및 확대 실시를 계획하고 있다. 임금피크제가 관심을 끄는 것은 청년고용제로 이어지는 연결고리가 되기 때문이다. 아무튼 경제가 어려운데 대기업이 나서서 청년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러나 문제는 대기업들의 고용대책이 지나치게 단기대책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가령 삼성의 경우 2년간 1천억원을 투입해 고용하겠다는 3만명의 일자리를 보면 직업훈련과 인턴십 제공 3천명, 전자제품 영업업무 등 직업체험 인턴 및 금융영업직 4천명, 평택 반도체단지 신규 채용 1만명 등 1만7천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고 기존 청년 일자리 프로그램을 확대해 1만3천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정규직이 아니라 대부분 정규직으로 가는 과정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삼성뿐만이 아니라 대기업들은 사회맞춤형 학과를 통한 인재양성, 직업체험 인턴, 창업 컨설팅 등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을 계획하고 있다. 물론 이 정도만으로도 청년 실업을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볼 때 이들이 정규직 진입에 실패할 경우 받을 상처를 생각하면 벌써부터 마음이 답답하다. 이를 막기 위해선 기업뿐만이 아니라 정부도 기업과 함께 다양한 직업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고용이 창출될 수 있도록 중지를 모아야 한다.
고용절벽의 최대 피해자는 청년층이다. 청년 고용은 반드시 해결해야할 숙명적인 과제이다.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우리 사회는 희망이 없다. 대기업의 이번 청년 일자리 대책이 정부의 보이지 않는 압력에 의해 마지 못해 내놓은 고용대책이 아니길 바란다. 고용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다. 지속 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대기업이 적극 나서서 많이 만들어 주길 당부한다.
청년 고용,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돼야
입력 2015-08-18 21:3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8-19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