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 직전으로 치닫던 남북대치 위험 상황이 남북고위급 접촉으로 일단 대화 국면에 들어갔다. 남북이 극적으로 협상테이블에 마주함으로써 긴박했던 충돌은 피한 셈이다. 북한의 긴급제의로 이뤄진 남북고위급 접촉은 22일 오후 6시30분부터 10시간에 걸친 마라톤 협상을 벌였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판문점 우리 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진행된 고위급접촉은 팽팽한 긴장 속에 새벽까지 계속됐다. 그러나 10시간에 가까운 협상에도 남북이 구체적 합의를 이뤄내지 못해 일단 정회하고 휴식과 검토의 시간을 가진 후 23일 오후 3시30분께 협상이 재개됐다. 양측은 협상과정에서 서울과 평양에서 훈령을 받으며 수차례 정회를 하고 때로는 수석대표끼리 일대일 접촉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은 지난 4일 비무장지대내에서 발생한 지뢰도발과 20일 DMZ일대의 포격 도발을 남측의 조작극이라며 소행을 전면 부인해온 주장을 쉽게 번복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추가 접촉에서도 쉽게 합의점을 찾기 어려울 것 같다. 우리 측도 북한의 지뢰도발과 포격도발에 대한 사과와 책임자 처벌이 없는 한 대북심리전 방송은 중단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 접촉은 남측에선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북측에선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가 참석한 이례적인 고위급 접촉인 만큼 시간이 걸리더라도 어떻게든 남북화해와 발전을 위한 합의점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우리 측 국가안보를 책임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북의 군부서열 1위 총정치국장이 회담형식으로 만남을 가진 것이나 통일부장관과 대남담당 비서겸 통일전선부장이 회담파트너로 만나는 것은 처음이다.
청와대도 ‘최근 조성된 사태의 해결 방안과 앞으로의 남북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면서 긴박했던 위기상황은 물론 남북관계 전반에 걸쳐 폭넓은 상호 의견교환이 있었음을 밝혔다. 1차 접촉을 토대로 서로 간의 입장을 검토한 뒤 상호 입장을 계속 조율하기로 한 만큼 재개된 고위급 접촉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그간 남북간에는 연평도 포격, 천안함 사건뿐 아니라 남북이산가족 만남, 금강산 관광 문제 등 난제가 많아 협상 타결은 시간이 걸릴 것 같다. 아직 북한은 준 전시체제에 있고 우리도 ‘워치콘’을 3에서 2로 격상, 최전방에선 쌍방의 경계태세가 팽팽한 상태다. 남북관계에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남북 고위급 접촉 화해 물꼬 트이나
입력 2015-08-23 21:0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8-24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