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경직된 행정규제를 완화하는 등 창조적인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실타래처럼 얽힌 규제를 현실에 맞게 풀어 기업활동을 돕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좋은 사례다. 부천시는 지난해 11월 행정자치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기지역 규제개혁 끝장토론회’에 관내 향토기업인 S전기의 기업규제 개선과제를 올려 규제를 풀도록 했다. 해당 지자체인 부천시와 정부, 경기도가 머리를 맞대 조정작업 끝에 도시기본계획 변경없이 도시관리 계획변경이 가능토록 관리지침 개정을 이끌어 낸 것이다. 공장이 소유하고 있는 부지의 약 49%가 일반주거지역으로 공장 증·개축이 불가능했던 것이다. 그러나 도시관리계획 지침 변경으로 증·개축이 가능해진 것이다. 무려 10년만이다.
이에따라 S전기는 공장 증·개축에 시설투자까지 3년간 200억원 이상을 투자할 수 있게 됐다. 기업 매출도 연 200억원 이상 증대 효과를 가져오고 100여명의 신규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부천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천을 R&D산업기지로 만든다는 알찬 계획을 추진해오고 있다. 올 들어서만 세라믹소재 기술지원센터를 개소하고 한국금형센터 착공식을 갖는 등 금형·조명·로봇·패키징·세라믹 산업을 특화해 집중 육성하고 있다. 지난 5월 오정일반산업단지 몰드밸리에서 착공한 한국금형센터는 총 618억원이 투입돼 앞으로 부천은 물론 수도권 금형산업의 메카로 중추 역할을 담당케 된다고 한다.
또 부천테크노파크에 개소한 세라믹소재 기술지원센터는 수도권에 소재한 세라믹 기업들의 시험분석 및 기술지원과 인프라 구축, 국내·외 표준화연구 사업을 담당케 된다. 부천시는 이외에도 관내 30개 업체를 강소기업으로 선정, 부천을 발판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경쟁력 있는 글로벌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지자체의 이 같은 지역경제살리기 노력은 기업활동에 장애가 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가능했다. 기업활동의 애로를 조속히 해결해 주고 지역경제 부양의 지름길을 보여준 지자체의 모범 사례다.
지역경제 살리기 모범 보여 준 부천시
입력 2015-08-23 21:0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8-24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