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고위급회담의 타결로 지뢰도발로 조성된 위기가 해소되었다. 그동안 보류되었던 남북협력사업과 민간교류가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경기도와 인천시는 화해와 통일로 가기 위한 거점지대의 위상을 확립하고, 각종 교류사업을 탄력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계기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번 사태에서도 확인되었듯이 접경지역을 이루고 있는 경인지역은 대표적인 낙후지역으로 남아 있어 주민들은 일상적으로 고통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남북 충돌이 발생하거나 긴장관계에 들어서면 주민들은 생업의 제약을 비롯한 직접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접경지대에 속한 경기도와 인천시의 경우 남북교류사업이 지자체 발전에 기여도가 높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기존사업들은 스포츠·문화교류·인도적사업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교류사업은 앞으로 공유자원의 공동활용을 통해 그 혜택을 공유하는 경제적 교류 사업을 발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개성공단이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는 것은 바로 남북 쌍방에 이익을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그동안 추진해 온 개성한옥 보존 사업과 말라리아 공동 방역, 개풍 양묘장 조성, 북한 결핵환자 치료 등 대북사업이 재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올해 중국에서 개최된 국제친선 양궁교류전과 평양에서 개최된 국제유소년축구 대회 등 스포츠교류 사업도 남북교류 사업에 활력소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인천시가 검토해온 서해안 ‘남북공동어로사업’은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다. NLL 주변의 공동어장을 설정해 어자원을 보호하면서 어획고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이다. 또 중국어선 싹쓸이 조업도 방지할 수 있다. 정부는 26일 남북 고위급 접촉에서 합의한 당국회담 개최를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회담의 시기나 방법, 형식 등을 조율하는 단계이지만 정례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지자체와 민간 교류활성화 방안도 논의될 것이다. 특히 북한이 요구하는 5·24 대북조치는 가장 중요한 의제로 여건이 성숙되면 해제될 가능성이 높다. 경기도와 인천시는 기존 교류사업들을 평가하고 지자체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 조만간 개최될 ‘당국회담’ 및 정부차원의 사업에 반영시켜야 한다.
경인지역 지속 가능한 대북교류사업 준비해야
입력 2015-08-26 20:1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8-27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