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오늘 중국의 항일 전승기념 행사 참석을 위해 중국으로 출발한다. 이번 박 대통령의 방중이 그 어느때 보다 특별한 관심을 끄는 것은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를 둘러싸고 한국 외교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대통령의 중국 열병식 참석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우리는 이번 방중이 우리가 주도하는 동북아시아 평화의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매우 뜻깊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우리는 미국·일본은 물론 심지어 북한의 눈치를 보거나 끌려 다니는 외교를 해왔다. 특히 핵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이 벼랑 끝 전술을 펼칠때마다 중국에 도움을 요청하는 듯한 저자세 외교를 펼쳐 온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한반도를 경색시켰던 남북 간 무장대치 국면을 평화적으로 해결한 것은 역설적으로 이번 방중기간동안 우리가 주도적 외교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 그 단적인 예가 열병식에서 시진핑 주석옆에 박대통령이 서게 된 것이다. 이는 북·중 동맹의 사실상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며, 북중관계가 한중관계로 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한중간의 관계개선을 향후 북핵 해결과 궁극적으로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한다.

이번 방중과 관련해 미국은 “한국의 주권적 결정을 존중한다”고 했지만 속마음은 그렇지 만은 않을 것이다. 동북아 패권을 놓고 중국과 쟁투를 벌이는 미·일 입장에서 한·중 밀착은 달갑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이미 극우신문을 통해 한·미 관계를 이간하려는 행태를 보여왔다. 전승절행사 참석 자체가 일본의 역사 왜곡과 독도 도발에 대한 우리의 단호함과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한중일 정상회담 제의 등을 통해 동북아 갈등의 중재자로서 우리의 위치를 확고히 하는 전략적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모든 면에서 중국은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사이다. 그렇다고 미국과 일본을 도외시 해서도 안된다. 슬픈 일이지만 ‘곡예외교’는 우리가 받아들여야 할 숙명이다. 그런 면에서 국론합일(國論合一)은 박 대통령에게 절대적인 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방중으로 중국이 북핵에 대해 기존의 모호성을 버리고 한반도 평화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성과를 거둘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