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이 지자체를 상대로 이권만을 챙기고 약속된 상생협력을 외면하는 갑질횡포를 일삼고 있다. 사회기여의 기업 정신을 외면한 채 이윤추구에만 몰두하는 전형적인 사례다. 국내 대기업인 CJ그룹은 여주시로부터 농촌테마공원을 위탁 경영하면서 지역사회와 상생을 위해 운영키로 했던 농경문화체험관과 관광 식당을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기피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연간 수천만명이 찾는 여주프리미엄아울렛과 연계 관광객들에게 지역 음식문화와 농경문화를 알리려는 지자체의 의도가 퇴색되고 있다. 여주시는 이 같은 CJ측의 협약 미이행에 따른 협약 해지의사를 전달하고 그간 비워둔 건물의 2년치 임대사용료 2억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여주시는 지난 2013년 CJ측과 관내 연라동 일대에 조성된 농촌테마공원부지에 52억원을 투입, 연건축면적 3천410㎡규모의 팜스튜디오를 짓기로 했다. 민간위탁 시설관리·운영에 관한 협약도 체결했다. 시로부터 무상으로 부지를 제공받은 CJ측은 팜스튜디오를 조성해 기부채납후 20년간 무상으로 사용하는 대신 한식당과 농경문화체험관을 CJ푸드빌과 CGV가 관리·운영키로 약속했던 것이다. 그러나 CJ측은 지난해 6월 팜스튜디오 준공후 지금까지 약속을 이행치 않고 있다는 것이다. 경영에 이익이 되는 팜스튜디오는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농촌을 테마로 널리 알려야 할 지역내 역사·문화지원사업인 한식당과 농경문화체험관은 비워둔 채 방치하고 있다. 돈만 쫓는 재벌 기업들의 속성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시는 이에 단호한 입장이다. CJ측에 도의적인 책임을 물어 방치된 건물 임대사용료 2년치를 요구한 것이다. 시는 협약 해지후 제3자의 운영업체를 공모하거나 직영운영을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대해 CJ측은 농경체험관 등 부대시설 운영은 수익성이 낮고 여건상 운영이 어려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재벌 기업이 지자체와의 상생 협력 약속을 어기고 수익성에만 매달리는 것은 도덕성에 문제가 있다. 최근 재벌 기업들의 정체성 없는 몸체불리기, 인색한 사회기여와 상생 등 도덕성에 질타가 이어지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지자체와의 약속조차 어기는 재벌행태는 또 하나의 갑질 논란의 대상이 된다.
실속만 챙기고 지자체와 상생협력 외면하는 CJ
입력 2015-09-02 20:1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9-03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