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중국방문 이후 평화적 남북 통일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동북아 안정을 위한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도 합의됐다. 통일은 주변 국가의 암묵적 동의가 중요하다는 박 대통령의 말이 아니더라도 한·중·일 관계는 평화통일의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누가 뭐라 해도 통일의 주체는 남과 북이다. 주변국 분위기가 좋아도 남과 북이 냉랭한 관계라면 통일논의는 공염불에 불과하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최근 경기도를 중심으로 불고 있는 민간교류를 주목한다.
남북 민간교류 단체들이 북측과의 실무협의를 제안하거나 준비하는 등 남북관계에 모처럼 훈풍이 불고 있다는 소식이다. 그동안 냉랭했던 관계는 언제 그랬냐는 듯 눈 녹듯이 풀렸다. 민간교류단체들의 사업이 인도적 지원 또는 사회문화 교류로 통일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북한 측도 진정성 있게 받아들이고 있다. 경기도와 북한 말라리아 공동방역사업, 개풍양묘장 조성사업 등을 벌이고 있는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지난 달 말 북측에 사업 일정 등을 위한 실무협의 재개를 요청한 상태고, 북한 산림병해충 방제사업을 지원하고 있는 사단법인 겨레의 숲도 북측에 실무협의 재개를 요청할 계획이다. 확실한 북측의 대답은 아직 없지만 이런 인도적 교류를 북측이 마다할 리 없다.
남북교역 중단과 대북 지원사업의 원칙적 보류 등을 골자로 하는 5·24조치로 남북교류가 중단됐지만, 경기도는 남북협력기금을 토대로 여러 교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북한과 상당부분 접해있는 지리적 특성 탓에, 질병발생, 생태계 파괴가 경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일례로 2011년부터 말라리아 방역·결핵치료 지원과 양묘장조성·산림병해충 방제작업을 펼쳤고, 이듬해부터는 개성한옥 보존사업과 국제 유소년 축구대회 등 문화·스포츠 교류도 펼쳐왔다.
하지만 걸림돌도 있다. 다음 달 10일 북한이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맞아 미사일 발사 등 무력 도발을 할 경우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 모처럼 맞은 남북 화해분위기가 남·북의 작은 실수로 중단돼서는 안된다. 어제부터 시작된 남북이산가족 실무접촉과 함께 경기도의 민간교류사업이 평화통일의 밑거름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남북 민간교류 훈풍, 평화통일 밑거름 되길
입력 2015-09-07 19:3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9-08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