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2201001494300083361

도내 6개 공급업체마다 차이
같은 회사도 권역별로 달라져
하청서 결정 탓…표준안 시급
공정거래법상 회사 관여못해


가을 이사철을 맞아 이사객들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도내 같은 지역, 같은 회사에도 불구하고 가스레인지 등을 설치하는 도시가스 연결비용이 서로 달라 수용가들의 불만이 되고 있다.

도시가스 요금의 경우 정부 표준안을 참고해 지자체가 결정하는 구조지만, 연결비용은 가스 공급 업체들이 선정한 하청 업체들 나름의 들쭉날쭉한 기준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도시가스협회에 따르면 삼천리·코원에너지서비스·대륜E&S·예스코·서울도시가스·인천도시가스 등 6개 업체가 도내에 가정용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으나 연결비용은 회사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도내 13개 시에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삼천리는 평균 2만7천원을 받고 있는 반면, 7개 시군을 담당하는 코원에너지서비스는 가장 비싼 평균 3만787원의 연결비용을 받았다. 김포 일부를 맡은 최저가격의 인천도시가스(2만5천원)와의 차이가 무려 20%에 달할 정도다.

삼천리의 경우 아예 같은 지역에서도 권역에 따라 비용 차이가 났다. 가스레인지를 연결할 때 필요한 휴즈코크와 호스 등 자재가 없을 경우 동수원과 남수원은 2만6천~3만6천원을, 북수원은 2만8천~3만7천원, 서수원은 2만4천원~3만6천원, 수원 중앙은 2만7천~3만8천원으로 각기 달리 적용했다.

삼천리 가스 공급지역인 군포·평택·오산·안성·광명·안양·시흥 등 인근 지역에서의 상황도 마찬가지여서 수용가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이사철이면 쏟아져 나오는 이 같은 불만에 부담을 느낀 업체들은 비용 표준화에 고민중이나 ‘하청 관련’의 공정거래법에 어긋나 사실상 하청 업체 손에 맡길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삼천리 관계자는 “도시가스 연결 서비스는 현행법에 따라 도내 40여곳의 협력업체에 맡긴 상태”라며 “지역별로 비용이 다른 것은 알고 있으나 공정거래법상 회사에서 관여할 수 없어 관리가 어렵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정부는 향후 도시가스 연결비 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매년 정기적으로 지역별 가스 연결비를 비교·공개하고 가스 요금처럼 정부의 표준안을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