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3001002147900115231.jpg
하이트진로가 소주 출고가격을 5.62% 올린 30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한 고객이 소주를 고르고 있다. 만 3년 만의 인상으로 참이슬 후레쉬와 참이슬 클래식(360㎖)의 출고가격은 병당 961.70원에서 1천15.70원으로 54원 오른다. 소주 출고가가 1천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하이트진로가 30일부터 소주 출고가격을을 5.62% 인상했다.

이에 따라 참이슬 후레쉬와 참이슬 클래식(360㎖)의 출고가격은 병당 961.70원에서 54원 오른 1천15.70원으로 변경된다. 소주 출고가가 1천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주 매출 1위 업체인 하이트진로가 소주 출고가격을 인상하자 경쟁 소주업체는 물론 맥주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이날 주류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 이외에 롯데주류와 무학 등은 아직 소주 가격 인상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이들은 참이슬의 판매 추이를 보고 입장을 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참이슬 출고가격이 오른 가운데 대형마트와 음식점에서의 가격 인상 폭도 관심거리다.

주류업계에선 3년 전 소주 가격이 8%가량 올랐을 때 대형마트의 인상 폭이 100원 정도였다는 점에서 이번에는 80∼100원 선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음식점 참이슬 가격은 1천원 가량 상승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대체로 현재 한병에 평균 4천원 하는 음식점 소주 가격은 5천원 선으로 올라설 것으로 보인다.

맥주가격의 인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나, 소주와는 상황이 다소 다르다.

유명 수입 맥주들이 국내에서 대거 할인 판매되는 등 국산 맥주와의 경쟁이 치열해진 탓에 섣불리 가격을 올리게 되면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빈병의 취급 수수료와 보증금 인상을 계기로 소주와 맥주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환경부가 내년 1월 21일부터 빈 병의 취급 수수료와 보증금을 올리는 법률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 개정안이 통과되면 소주의 빈병 취급 수수료와 보증금은 17원, 60원으로 오르며 맥주는 각각 14원, 80원 인상된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