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해양경비안전서 소속 해양경비안전센터 중 절반이 인명을 구할 수 있는 구조정과 구조보트 등 연안구조 장비가 단 한 척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박남춘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천지역 11곳의 안전센터 중 5곳에는 구조정과 구조보트가 배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정과 구조보트가 없는 해양경비안전센터는 백령도와 대청·연평 등 서해 5도 지역과 강화, 신항만 해양경비안전센터 등이다. 특히 구조보트보다 규모가 큰 구조정을 보유한 해양경비안전센터는 한강 해양경비안전센터와 인항 해양경비안전센터 2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구조정과 구조보트는 안전센터로 신고가 접수될 경우 신속하게 사고 해역으로 출동해 인명구조와 상황파악·초동조치 등을 하는데 필수적인 장비다. 하지만 구조정과 구조보트 등이 없으면 이용 가능한 민간 해양구조 선박을 섭외해 현장에 나가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지체될 수밖에 없다.

인천 해역에는 인명 구조가 가능한 고속단정을 탑재하고 있는 5척의 경비 함정이 있지만, 서해 5도 NLL 해역을 포함한 인천지역 모든 바다를 관할하고 있어 사고발생 지점에 따라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박 의원은 "구조정과 구조보트 등 연안구조 장비는 경비함정과는 별도로 연안사고의 초동 대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민의 안전을 위해 연안구조 장비의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