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들 '안심' 호응 높은데
교육청 사회배려층 우선지원
일부 저학년 수익자부담 운영
"지원 확대·강화" 목소리 커
최근 인천에서 발생한 '8살 초등학생 하굣길 유괴·살해 사건'과 맞물려 '안심알리미' 서비스를 확대·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8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각 학교의 '안심알리미'서비스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학생이 단말기를 소지한 채 교문 등을 지나면 학부모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학교에 도착 또는 하교 여부를 자동 안내해주는 서비스로, 각 학교는 올해 가입 희망자를 파악 중이다.
이용료는 1인당 월 5천500~8천800원 가량으로 도교육청은 올해 9억8천80만원을 25개 교육지원청에 배부해 지원할 예정이다. 도내 초등학교 수가 1천260여곳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학교당 80만~100만원 가량이 지원되는 셈이다. 도교육청은 1차적으로 사회 배려계층 학생들의 이용료를 우선 지원한다.
이런 '안심알리미'서비스는 별도로 핸드폰을 사주지 않고도 자녀의 등하교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만큼 학부모들 사이에서 호응이 높다. 특히 인천에서 하굣길에 초등생이 유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학부모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졌고, 지역 학부모 커뮤니티 등에서는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는 학부모들 간 정보공유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학교는 예산상의 이유로 취약계층을 제외하고는 수익자(학부모) 부담으로 일부 저학년만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상태다. 송탄의 J초교와 광명의 A초교의 경우 부족한 금액은 학교운영비를 보태 1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이용료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당국이 서비스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 대상 학년 등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3학년 딸을 둔 이모(43·수원시 팔달구)씨는 "핸드폰을 사주기는 했지만 꺼뒀을 경우에는 연락이 안되기도 하고 매번 문자를 주고받기도 어려워 안심알리미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며 "1학년 때는 무료여서 부담없이 이용했는데, 초등학생만큼이라도 이용료가 지원된다면 더욱 안심하고 학교를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워낙 학교와 학생 수가 많다 보니 전액지원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학부모와 학생의 호응이 높은 만큼 지원확대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교육청의 경우 매년 6억원 가량을 들여 취약계층을 포함한 전체 1~2학년 학생들의 안심알리미 이용료를 전액 지원하고 있다.
/이경진·신선미기자 ssunmi@kyeongin.com
'초등생 유괴·살해' 불안한 맘… '등하교 알림서비스' 받고픈 맘
입력 2017-04-18 23:19
지면 아이콘
지면
ⓘ
2017-04-19 2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