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수·소수 나누지 않는 교육, 가장 중요
김현숙 숙명여대 다문화통합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국가·정부 부처마다 '다문화 가정'을 정의하는 대상이 달라 정책이 현실적으로 적용되지 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교육부에서는 외국인으로 구성된 가정을, 여성가족부에서는 부모 중 한 명이 한국인일 경우를 '다문화 가정'으로 규정하는 등 각 부처마다 다른 정의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 연구원은 "대개 다문화 가정이라고 하면 이주여성 자녀를 생각하는데 한국의 다문화 가정은 이주 여성뿐 아니라 이주 노동자, 외국인, 유학생 등으로 구성된 다문화 가정이 있다"며 "각 부처에서 정의하는 대상이 다르다 보니 적용하는 정책, 혜택을 받는 자도 달라지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연구원은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 200만 명 중 결혼이주이민자(남·여)는 30만 명으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최근 외국인 유학생 비율이 높아져 가면서 유학생으로 구성된 다문화 가정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지만, 한국의 각 부처에서는 여전히 '결혼이주이민자'에만 국한하는 정책을 펼치기에 문제가 생겨나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종대 한국외대 다문화교육원 연구원은 외국인들을 '다문화'로 특정 짓고 그룹화하는 것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다문화라고 부르는 것 자체가 '우리와 다르다'고 선을 긋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가장 중요한 건 다수와 소수를 나누지 않는 교육"이라며 "문화는 서로 다르다는 점을 인식시킬 수 있는 '상호문화'교육을 확대해 외국인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 연구원은 다문화 정책의 '연속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정부의 다문화 지원 정책이 1년 단위로 분절 돼 있다는 것.
박 연구원은 "초기 한국사회는 다문화 가족을 '잠재적 문제아'로 여겼다. 이제는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이중언어', '이중문화권'의 강점을 살리는 방향의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접근의 전환만큼 중요한 건 하나의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는 것이다"고 덧붙였다.
/박연신·배재흥기자 jh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