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신대학교는 오는 24일까지 샬롬채플 2층 로비에서 특별기획 사진전 '항일독립운동의 기지 북간도와 기독교, 그리고 한신대학교'를 개최한다.

(사)규암 김약연기념사업회가 주관한 이번 사진전은 북간도에 세운 민족공동체를 기반으로 항일독립운동 지사를 양성하고 북간도의 기독교와 한신의 관계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진 60여점이 5부로 나뉘어 전시된다.

제1부 '북간도에 세운 이상향 명동촌'에선 북간도의 신학문과 민족교육이 뿌리를 내린 명동촌을 조명하며, 제2부 '항일민족정신 함양 북간도 민족학교'는 명동학교를 비롯한 은진중학교, 명신여학교 등 항일독립정신의 자양분으로서 항일의식을 함양해 독립 운동지사를 배출한 민족학교를 소개한다. 또 제3부 '북간도 한인조직과 항일 독립운동, 그리고 용정'에선 1919년 용정 서전평야에서 일어났던 3.13만세운동을 기점으로 본격화된 북간도의 독립운동과 무장독립투쟁의 결과인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대첩을 조명했다.

제4부 '일제의 북간도 한인 탄압과 경신 참변'에선 일제의 북간도 독립군 토벌과 한인 탄압의 선봉인 일본군 나남 19사단 보병 75연대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제5부 '항일독립운동 기지, 북간도 기독교와 한신대'에선 현재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북간도 항일운동을 지탱했던 기독교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한다.

간도의 대통령이라고 불린 규암 김약연 선생은 명동촌에 터전을 마련하고 기독교 정신과 민족교육에 앞장선 장본인이다. 그가 지닌 불굴의 독립의지와 민족 정신은 장공 김재준(1901∼1987) 목사의 삶과 신앙에도 깊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기독교장로회(이하 기장)와 한신대학교의 뿌리 격인 장공은 1936년 8월부터 은진중학교에서 교목 겸 성경교사로 섬겼다. 당시 장공의 제자로는 '기장의 거목' 강원용(1917∼2006) 목사와 민중 신학의 창시자 안병무(1922∼1996) 박사, 통일과 민주화를 위해 헌신한 문익환·문동환 목사, 장준하 선생 그리고 시인 윤동주 등이 있다. 이른바 '북간도 기독교'를 이루는 이들이 한신대와 기장의 초석을 다진 것이다.
오산/신창윤기자 shincy2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