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포탕, 무보다 비싼 박속 연중사용 눈길
칼국수 사리 대신 전남 장흥 매생이 별미
한약·매실액 비린내잡은 '인생 간장게장'

이런 이유 때문일까 많은 음식점들이 전라도 지역 지명을 따서 식당 이름을 짓거나 전라도식 음식이라고 홍보를 하고는 한다.
하지만 수원에서 제대로된 전라도식 음식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수원 수성중 맞은편에 있는 '김소임 간장게장 목포식당'(이하 목포식당)을 소개 받고 처음 방문했을때도 그냥 그런 음식점이지 않을까하는 의심을 하며 방문했다.
다양한 젓갈과 직접 담근 갓김치와 총각김치, 매실 장아찌, 도라지 무침, 연근조림, 호박과 가지볶음 등 16가지 반찬이 수북히 자리했다.

더 놀랐던 건 싱싱한 낙지 사이로 보이는 박속이었다. 일반적으로 연포탕을 파는 음식점들은 박속 보다는 무를 많이 사용한다.
박속이 더운 여름철에만 나오기에 연중 식재료로 어렵다. 또 가격도 무에 비해서 비싸다는 점도 음식점들이 박속을 식재료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다. 목포식당에서는 아직 박속이 농가에서 재배해서 출하하려면 1개월 이상이 남았는데도 떡하니 사용하고 있었다.
목포식당 변영호 사장은 "박속이 나올때 대량으로 구입해서 저장해 놓고 꺼내 쓰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어 변 사장은 "재료는 대부분 전라도에서 공수해서 직접 만든 음식만 손님 상에 올라간다. 젓갈은 신안 임자도에서 가져오고, 낙지는 무안이 제일이니 거기서 공수해 옵니다"고 전했다.
목포식당의 연포탕은 칼국수 사리가 들어가지 않는다. 대신 목포식당에서는 연포탕을 어느 정도 먹은 후 매생이를 넣고 푹 끓여서 먹는다. 물론 매생이도 다른 식재료와 같이 전라도산인데 매생이로 유명한 전남 장흥에서 가져 온다고 한다.

식당 간판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간장게장도 밥도둑이라는 말을 실감할 수 있다.
짜지 않고 심심한 듯한 간장게장은 알이 꽉 차 있다. 혹 간장을 잘못 졸여 사용하면 비리기도 한데 목포식당의 간장게장은 '인생 간장게장'이라고 평가해도 좋을 만큼 태어나 처음 맛보는 맛이다.
변 사장은 "아무래도 음식은 식재료가 좋아야 한다. 꽃게는 꽃게철에 서해안에서 잡은 국내산 꽃게를 대량으로 구입해 놓고 필요한 만큼만 담궈서 손님 상에 내놓는다"며 "간장게장은 비린내가 나지 않게 잘 만들어야 한다. 간장을 끓일때 한약재를 넣어서 비린내를 잡는다. 쉽게 상할 수 있어 매실액도 넣는다"며 비법을 공개했다.
목포식당은 수성중 정문 앞에 문을 연지 14년 됐다.
하지만 구도심에 있다는 이유로, 또 화려한 인테리어로 치장하지 않아 수원지역 미식가들만이 찾는 집이다. 주소 : 수원시 장안구 수성로 370(수성중학교 정문 건너편) 연락처 : (031)256-6950
/김종화기자 jh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