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내달부터 가맹점 정보 서비스
시·군별 상점내역·주변 위치 제공
수원 청년, 관련 앱 개발로 '촉발'
경기도가 지역화폐를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도민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다음 달 가맹점 정보 서비스를 시작한다.
사용법이 편리하고 충전금액의 일부를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등 여러 혜택에도 불구하고 사용처를 쉽게 알 수 없다는 '단점'(4월19일자 1·3면 보도)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수원시에 사는 한 청년이 직접 가맹점 정보 제공 앱을 개발하고 나선 게 촉매제가 됐다.
도는 다음 달 초부터 경기지역화폐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각 시·군별로 지역화폐를 어디에서 쓸 수 있는지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
상점 내역 뿐 아니라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소비자가 있는 곳 주변 가맹점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시·군마다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분야가 제각각인 만큼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더 많이 지역화폐를 이용케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지역화폐로 '청년 기본소득'을 지원받은 만 24세 청년 용찬호씨가 관련 앱을 개발하면서 촉발된 것이다.
컴퓨터공학을 전공해 석사학위를 받은 용씨는 청년기본소득을 지원받은 후 "지역화폐를 받긴 했는데 어디에서 쓸 수 있는지 알기가 어렵다"는 주변 친구들의 공통된 이야기에 자비를 들여 이같은 앱을 개발했다.
각 시·군이 배포한 가맹점 자료를 활용, 해당 앱을 통해 수원시를 비롯한 19개 지자체내 가맹점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용씨는 지난 25일 경인일보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수원시에서 가맹점 목록을 엑셀파일로 배포하고 있지만, 가게에 갈 때마다 (수원시의 지역화폐인) '수원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지 노트북을 열어 일일이 확인하는 건 너무 번거로운 일이었다. 불편함을 없앨 서비스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틀 만에 개발을 완료했다. SNS를 통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링크를 공유하니 많은 분들이 수원 외 다른 지역도 추가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개발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별도의 허가 없이 시·군청 정보를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법에 저촉될 수 있다는 논란에 부딪혔다.
이재명 도지사로부터 검토를 주문받은 도는 위법성이 없다고 결론을 내린 후 오히려 도에서 이같은 서비스를 정식으로 제공키로 결정했다.
용씨는 "저만 해도 지역화폐를 지원받아 평소에 사지 못했던 옷이나 먹고 싶었던 음식을 구매한다. 의외로 주변에 이를 잘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해당 서비스를 만든 건 저와 주위 사람들이 편하게 지역화폐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지 수익을 창출하려는 목적은 아니었다. 오히려 서비스 운영 비용으로 매달 5만원이 제 지갑에서 빠져나간다"며 "위법 논란이 빚어졌을 때 서비스를 계속 해야 하는 지 심각하게 고민했는데, 도에서 빠르게 이를 확인해줘서 놀랐다. 공익 목적의 서비스라는 점을 이해해 주고 존속될 수 있도록 해줘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많은 도민들의 일상에 지역화폐가 자리잡게 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며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이러한 방안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경기 지역화폐, 사용처 쉽게 알 수 있게…
입력 2019-05-27 22: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5-28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