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내부유보금 반영등 요청
道 지원없이 단독추진 못해 난색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의 올해 1회 추가경정예산안이 통과된 이후 후폭풍이 불고 있다. 도의회가 실내체육관 건립사업을 위해 도와 도교육청에 재원 마련을 요구하고 있으나 도와 도교육청은 즉각적인 사업 추진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29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추경이 반영된 도교육청의 전체 예산은 본예산보다 10.3% 늘어난 18조83억원으로 책정됐다. 이번에 편성된 추경예산 중 학교체육관 신규 건립에 대한 내용이 가장 두드러졌다.

학교체육관 건립사업은 도교육청 50%, 경기도 35%, 시·군 지자체 15% 매칭사업으로 지난해 말 처음으로 3천400억원의 예산(136개교)을 확보했다. 하지만 올해에는 도교육청과 도에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이번 추경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도의회는 추경예산 심의과정에서 계수조정으로 확보한 내부유보금 150억원을 학교실내체육관 건립 확대를 위한 설계용역비(150개교)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도교육청에 전달했다.

또 1조3천836억원의 지방교육채를 상환하고, 약 5천억원 수준의 기관채권을 신규 발행해 실내체육관 설립 예산에 활용해줄 것도 요청했다.

도교육청이 교육채 발행으로 건립비 부담률을 높인다면 도와 각 시·군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쉬울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도교육청은 도의 예산 지원 없이 당장의 학교 체육관 신설은 어렵다는 반응이다.

실내체육관 건립 사업은 매칭사업으로 도교육청 단독으로 추진될 수 없는 데다, 올해 내부유보금 150억원도 예산 사용 변경 등 실내체육관 계획이 수립돼야 하기 때문이다. 도의회에서 주장한 기관채권 신규 발행 여부도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도와 도교육청 간의 협의가 이뤄질 지도 미지수다. 도는 올해 체육관 설립에 필요한 예산을 책정하는데 큰 부담을 느껴왔다. 도는 조만간 도교육청 관계자들과 만나 관련 내용을 협의할 예정이지만 예산 매칭 비율 조정 등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도와 지자체의 지원이 있어야 학교체육관 신설이 가능하다"며 "아직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김성주·이원근기자 lwg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