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조직 개편 '부시장' 직제 의지
2차례 구도심 활성화 전략 제시
지속 재정·정책 연속성 '포인트'
셀트리온 투자유치 '신도심 성과'

2019070901000757600035781




인천 구도심과 신도시 간 균형발전은 역대 민선 시장들이 최우선 현안으로 꼽아 추진했던 과제다.

민선 7기 박남춘 인천시장은 취임 이후 '더불어 잘사는 균형발전'을 구호로 내걸어 구도심이나 신도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인천시가 양쪽 날개로 날 수 있는 성장 동력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단행한 첫 조직개편에서 '균형발전정무부시장' 직제를 만들어 최우선 과제로 신·구도심 간 균형 발전에 신경 쓰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우선 구도심재생 분야에서는 지난해와 올해 4월, 2차례에 걸쳐 '구도심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며 앞으로 민선 7기 인천시가 추진할 구도심 활성화 전략의 밑그림을 제시했다.

2022년까지 총 3조9천224억원을 투입, 중구 신포동 개항장 일대 근대건축물 등 인천의 문화 자산을 활용해 구도심을 활성화 하고 과거 도심 한복판을 지났던 미추홀구 승기천, 동구 수문통 일원을 서울의 청계천처럼 복원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게 지난해 발표했던 1차 대책의 핵심 내용이다.

지난 4월 제시한 구도심 활성화 2차 대책에서는 소래포구 갯벌(소래습지생태공원)을 인천대공원, 경기 시흥 갯골생태공원과 연계시켜 수도권 최대 해양 친수 공간을 만들겠다는 구상을 공개했다.

이와 함께 인천시가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인천항 내항 재개발 사업도 인천시 구도심 활성화 대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민선7기 인천시가 내세운 이런 전략들이 실현되기 위해선 지속적인 재정 뒷받침과 정책의 연속성, 해당 지역 주민들의 동의·참여가 뒷받침돼야 한다.

구도심 활성화 대책은 대부분 중·장기 과제로 분류되고 막대한 예산이 투입돼야 하는 특성이 있어 장밋빛 청사진만 제시해 놓고 애초 약속했던 사업들이 엎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민선 7기 이런 구도심 활성화 정책과 더불어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한 신도심 발전 전략의 가장 큰 성과로는 지난 5월 셀트리온의 투자 유치 계획 수립을 꼽을 수 있다.

셀트리온은 2030년까지 송도국제도시 등에 40조원을 투자해 직·간접 고용 인력 11만명을 창출하겠다는 내용의 '비전 2030' 계획을 지난 5월 발표했다.

인천시는 셀트리온 투자를 계기로 송도 일대에 바이오 분야 기업과 연구시설 등을 집적화한 '바이오 밸리'를 구축, 인천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을 내놓기도 했다.

구도심 활성화 전략과 함께 경제자유구역 투자 유치에도 신경 써 인천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게 인천시의 전략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구도심 활성화 전략의 경우 정책 연속성이 중요한데 시장이 바뀌면 이전에 추진됐던 사업들이 엎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체감할 수 있는 구도심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