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운영실적 62% '택배 보관'
상근인력 채용·특별구역등 '제언'
인천 지역 구도심에 있는 저층 노후주택의 집수리 문제를 해결하려면 인천시가 운영하는 마을주택관리소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인천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이왕기 선임연구위원은 16일 발표한 '인천시 마을주택관리소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의견을 제기했다.
저층 노후주택은 지어진 지 20년이 넘은 4층 이하 주택을 뜻하며, 인천에는 5만4천여 가구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새뜰마을사업 등 구도심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여러 정책을 벌이고 있으나, 전국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탓에 사업구역으로 선정되기 어렵다는 게 이 연구위원 설명이다.
이 연구위원은 저층 노후주택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마을주택관리소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시는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서구 등에 11개의 마을주택관리소를 운영하고 있다. 마을주택관리소는 주민 집수리 지원과 관련 교육, 공구 대여, 무인 택배 서비스 등 다양한 주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중구를 제외한 마을주택관리소에는 상근 인력이 없어서 마을 주민들의 택배를 보관하는 것이 전체 업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 연구위원이 최근 5년간 마을주택관리소 운영 실적을 분석한 결과, 62%가 택배 보관 업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위원은 간단한 집수리를 할 수 있는 상근 인력을 채용하고, 이들이 저층 노후주택을 계속해서 관리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자원봉사자와 주민을 대상으로 집수리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고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저층 노후주택이 밀집한 지역을 '집수리 특별구역'으로 지정하고, 시민들이 집수리 지원 정책에 대해 알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집수리 지원 정책을 강화하면 전면 재개발이나 전체 주택 리모델링보다 적은 비용으로 주거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인천시는 종합적인 집수리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저층 노후주택 환경개선, 마을관리소 역할에 달려"
'인천시 마을주택관리소 활성화 방안' 보고서
입력 2020-03-16 21:36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3-17 1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