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회의 재개 1주일만에 중단…
매립지 공론화 일정 무기한 연기
민선7기 2주년 준비도 더뎌질 듯
생활방역 전환 이후 시정 주요 현안에 드라이브를 걸려던 인천시의 계획이 인천 학원 강사로 촉발된 코로나19 집단 감염 여파로 다시 제동이 걸렸다.
인천지역에서는 지난해 5월 붉은 수돗물 사태를 시작으로 강화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태풍 링링 피해 등이 이어졌고 올해 들어서는 코로나19 사태로 사실상 정상적인 시정 운영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4일 인천시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지난주부터 재개됐던 시장 주재 정책현안회의가 잠정 중단됐다. 이와 함께 올해 인천시 최대 현안 중 하나인 쓰레기 자체매립지 조성을 위한 공론화 위원회도 이번 사태로 중단됐다.
박남춘 시장이 직접 주재해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진행해 오던 정책현안회의는 인천시의 주요 현안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주요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논의 창구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열리지 못하다가 생활방역 전환 이후인 지난 7일 재개됐지만 1주일 만에 집단 감염 여파로 다시 논의 창구가 닫혔다.
수도권매립지 조기 종료 방침에 따라 인천시가 추진 중인 자체매립지 조성을 위한 공론화 일정도 무기한 연기됐다.
인천시는 16~17일, 23일 3차례에 걸쳐 자체매립지 조성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었다. 시민 의견 수렴 과정이 계속 지연됨에 따라 이후 진행해야 하는 추가 행정절차 등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밖에 오는 7월 민선 7기 2주년을 앞두고 내부적으로 추진하던 준비작업도 당분간 속도를 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박남춘 인천시장도 당장 오는 18일 광주에서 예정된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총회 참석 등 대부분의 대외 일정을 취소하고 당분간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각종 재해·재난, 사고 수습에 시정이 집중되다 보니, 민선 7기 들어 이뤄낸 각종 성과를 시민들이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시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그간 시정 성과가 빛을 보지 못하는 측면도 있다"며 "직원들의 피로감도 누적돼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다운돼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코로나 집단감염 악재… 또 제동걸린 인천시정
입력 2020-05-14 22:31
수정 2020-05-16 17:54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5-15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