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재확산 차단·고용위기 타개
내달 개원 '일하는 국회법'등 개정
통합당, 김종인비대위 '임기' 내홍
초선 '꼰대당 탈피' 끝장토론 정리
집권여당의 압승으로 끝난 4·15 총선 이후 한 달의 시간이 흐른 가운데 여야의 명암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177석을 확보하며 정국 주도권을 거머쥔 더불어민주당은 코로나 사태 극복과 개혁 입법 처리를 위한 채비를 서두르고 있는 반면, 미래통합당은 지도체제 정비조차 마무리 짓지 못한 채 총선 참패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우선 유례 없는 '코로나 총선'에서 국난극복 프레임을 제시해 승리의 동력을 얻었던 민주당은 코로나19 극복을 우선 과제로 놓고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태원발 재확산 사태를 차단하는 한편 고용 쇼크로 현실화하는 경제위기 상황을 타개하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아울러 오는 6월 21대 국회가 개원하면 개혁 입법을 관철하기 위한 준비에도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민주당은 이른바 '일하는 국회법'으로 국회선진화법 개정을 시도한 뒤 정기국회에서 개혁입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다만, 친문(친문재인)·친조국을 내세운 열린민주당과는 거리 두기를 유지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정치권에선 21대 국회가 본격화되면 열린민주당이 우군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통합당은 지난 한달 간 원내대표 선출만 이뤘을 뿐, 당을 정상화하기 위한 논의조차 답보상태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해 당을 수습하려 했지만 임기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김 내정자로부터 위원장직 수락을 받지 못했다.
지난 8일 선출된 주호영 원내대표는 '김종인 비대위'로 방향성을 제시하고 당선자 연찬회에서 '끝장 토론' 형태로 당의 총의를 모으겠다고 밝혔다.
지도체제 문제가 정리된다 해도 갈 길은 멀기만 하다. 당장 일부 낙선자와 지지자들이 투표 조작설을 제기하는 등 총선 불복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통합당에서 이 의혹과 관련해 증거보전을 신청한 후보자만도 10여명에 이른다.
당 안팎이 어수선하지만 그나마 초선을 중심으로 "꼰대정당을 탈피하자"는 목소리가 커지는 것은 고무적인 조짐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초선들은 지난 원내대표 경선에서 후보 토론회를 요구해 관철했고, 일부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광주 방문을 예고해둔 상태다.
/정의종·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
與 '코로나극복·개혁입법 채비' vs 野 '참패늪 지도체제 정비 최선'
총선 한달… '엇갈린 명암'
입력 2020-05-14 22:05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5-15 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