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jpg
수원시 권선 6 재개발구역에 한 건물주가 재개발보상금 증액을 요구하며 이주를 거부해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사진은 29일 권선 6 재개발구역내 이주를 거부하는 건물주가 건물에 망루를 설치한 모습. 2020.12.29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미청산 가구 1곳과 '협상 장기화'
작년말 교섭도 불발…연기 불가피

현금 보상 관련 홍역을 겪고 있는 권선113-6(권선6구역) 재개발 사업의 일반 분양 계획이 또 다시 연기될 위기에 처해 조합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 이어 올해 2월로 연기했지만, 여전히 합의안엔 도달하지 못하면서 재차 미뤄질 가능성이 높아진 까닭이다.

7일 권선113-6재개발조합 등에 따르면 권선113-6구역재개발사업은 삼성물산과 SK건설, 코오롱글로벌이 손잡고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 817의 72 일원 12만6천336㎡에 총 2천178가구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미청산 가구 1곳이 현금 보상금이 적다며 반발하면서 사업에 먹구름이 꼈다. 해당 가구는 인근 주택 5채에 대한 철거까지 오물·골프공·항아리 등을 쏘면서 저항하고 있다. 법원·경찰이 나서 명도집행에도 나서봤지만, 격렬한 저항에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현재 기청산 12가구도 보상금을 더 달라며 나서 총 금액은 35억원대로 늘었다.

조합 측은 미청산가구와 만나 지난해 12월 말 3차 교섭을 진행했다. 조합 관계자는 "'종전재산가 85% 요구안은 너무 과하고, 이미 청산한 가구 12곳도 돈을 더 달라는 건 너무한 것 아니냐'고 말을 했더니 모두 자리를 박차고 나가더라"며 "대화를 하고 싶어도 말만 꺼내면 전부 회의장을 떠나는데, 뭘 할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협상이 재차 난항을 겪으며 2월로 예정됐던 일반분양도 연기가 불가피해졌다. 조합 관계자는 "2월은 물 건너갔고, 3~4월도 넘길 것 같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조합원들은 조합과 수원시에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한 조합원은 "미청산가구 보상문제 하나를 처리 못하면서 일반 분양 시기만 더 뒤로 미뤄졌다"며 "그런데도 조합은 어쩔 수 없다며 소통도 제대로 안 한다"고 토로했다.

조합 관계자는 "불안은 이해한다"면서도 "당장 35억원을 마련할 수도 없고, 하더라도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게 뻔하다. 경찰이 나서줘야 하는데, 왜 방관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