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산업 지원 최적지' 내세워
"70여년간 국가안보 '특별한 희생'
남북 교류협력 배후도시役 기대"
경기북부지역에서 가장 낙후된 연천군이 3차 경기도 공공기관 이전 대상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적극적 유치 의사를 피력, 주목된다.
김광철 연천군수는 2일 오전 의정부 경기도청 북부청사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의 3차 공공기관 이전 결정을 환영하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유치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김 군수는 "경기주택도시공사와 추진 중인 연천BIX(은통산업단지)는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며 "경제과학진흥원의 주력 사업 중 하나가 바이오산업 지원임을 고려하면 경제과학진흥원의 이전지는 연천BIX가 가장 적합하다"고 유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연천은 서울시 면적의 1.2배이나 인구는 경기도 최소이며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지역"이라며 "38선 북쪽에 있어 남북 경계에서 운명의 시간을 견디며 70여년간 국가안보를 위해 특별한 희생을 한 상징적인 지역"이라고 정당성을 주장했다.
김 군수는 또 "경제과학진흥원이 이전돼 다양한 지원사업이 지역 내 교육인프라 부재를 대신한다면 근본적인 균형발전을 이룰 것이며 연천군이 남북 교류협력의 배후도시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앞서 경기도는 민선 7기 들어 두 차례에 걸쳐 8개 공공기관을 낙후된 경기 동북부로 이전한 데 이어 지난달 17일 균형발전 차원에서 경기연구원, 경기신용보증재단,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도농수산진흥원, 경기복지재단, 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등 산하 공공기관 7곳의 추가 이전계획을 발표하고 다음 달 공모 절차를 진행한다.
이 같은 경기도의 방침에 포천과 양주, 고양, 의정부 등 경기북부 대부분 지자체가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기대하며 이들 공공기관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반면, 경기도의 수부도시인 수원시는 1∼3차 이전 대상 경기도 공공기관 15개 중 12개가 주사무소를 둔 탓에, 수원지역 도의원들이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는가 하면 산하 해당 공공기관 직원들로 구성된 경기도 공공기관노동조합총연맹이 이전 반대 1인 릴레이 집회를 벌인 데 이어 지난달 25일에는 수원 광교 주민들이 삭발 시위를 하는 등 반발하며 갈등을 빚고 있다.
의정부/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