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5·18민주화운동 41주년 기념일이다. 전두환 신군부의 극단적인 민주화운동 탄압으로 수많은 광주 시민들이 희생당한 지도 벌써 40년이 지났다. 광주 시민들은 5·18민주화운동을 통해 불의한 권력의 폭력을 용납하지 않는 자유민주주의 국가 국민의 저항 정신을 보여주었다. 5·18 정신은 모든 권력의 어떠한 폭력도 반대하는 국민적 연대로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입장이 지역과 정파로 구분돼 정치적 장벽의 기준이 됐던 시절도 있었다. 가해 권력의 부인으로 인해 명백한 피해의 역사가 국민에게 전달되지 않은 적도 있었다. 하지만 한 세대를 훌쩍 넘는 성숙기를 거쳐 국민 모두가 동의하고 존중하는 보편적 역사와 가치로 자리잡았다. 지난해 광주 지식인들은 5·18왜곡 처벌법을 반대했다. 대한민국 민주화 서사의 시작이자 완결인 5·18민주화운동을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비민주적 법안의 빌미로 만들면 안 된다는 명분이 당당했다. 5·18 역사에 대한 광주 지식인들의 자긍심은 정권의 초법적 5·18 수호를 압도했다.
국민은 이제 5·18민주화운동을 정파적 시선에 가두지 않는다. 국민은 5·18을 자신의 생명과 생존과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지키는 불가역적 기준으로 승화시켰다. 입법, 사법, 행정 등 국가권력은 물론 경제, 사회, 문화권력 등 국민을 위협하는 모든 권력은 국민 심판을 피할 수 없다. 국민은 5·18을 삶을 지켜내는 살아있는 가치로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반면 5·18민주화운동을 대하는 정치권의 인식과 태도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5·18 메시지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의 조롱이 보여주듯이 여전히 정파적이다. "5·18은 독재와 전제에 대한 강력한 거부와 저항을 명령하는 것"이라는 윤 전 총장의 헌사는 상식적이다. '윤석열은 5·18민주화운동을 거론할 자격이 없다'는 정 의원의 논리는 반시대적이다. 정 의원이 무슨 자격으로 5·18을 거론할 자격 유무를 판단할 권한을 행사하는가.
5·18민주유공자유족회는 어제 열린 5·18민주화운동 추모제에 국민의힘 정운천, 성일종 의원을 초대했다. "추모에 여야가 어디 있겠냐"는 유족회 회장의 말에서 국민을 통합시키는 5·18의 미래가 보인다. 이제 정치가 5·18을 자유롭게 놓아주어야 한다. 보수정당이 진심 어린 사과를 계속하고, 진보정당이 5·18의 정치적 독과점을 포기하면 가능하다.
[사설] 5·18, 이제 정치로부터 자유로워져야
입력 2021-05-17 20:21
지면 아이콘
지면
ⓘ
2021-05-18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