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D노선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의외의 현장에서 돌파구를 찾았다. 경기도 김포·부천 시민과 인천 검단지역 시민들은 지난달 22일 한국교통연구원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을 공개하자 화들짝 놀랐다. GTX-D노선이 절반이 뚝 잘려 발표됐기 때문이다.

당초 시민들은 김포~검단~부천~강남~하남을 잇는 GTX-D노선 계획을 철석같이 믿고 있었다. 경기도와 인천시도 국토교통부에 서울 직결 노선의 필요성을 간곡하게 호소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김포~부천으로 축소된 노선이 발표되자, 염원의 크기에 비례하는 분노를 표출했다. 지역 주민들은 GTX-D노선에 '김부선'이라는 자조적인 명칭을 붙이고 현재의 교통난과 장래의 교통지옥을 해소할 수 없다고 격렬하게 반발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나 정부 측은 '김부선 민란'을 외면했다.

그런데 국무총리와 여당대표를 지낸 이낙연 의원의 김포 지옥철 체험을 계기로 GTX-D노선 재조정이 정부의 긴급현안으로 부상했다. 이 의원은 17일 출근 시간에 김포골드라인(김포도시철도) 경전철에 탑승했다. 김포검단교통시민연대의 챌린지 제안에 응한 것이다. 이 의원은 출퇴근 시간에 지옥철로 변하는 김포 경전철을 고스란히 체험했다. 동승한 승객들은 항의와 하소연을 쏟아냈다. 이 의원은 풍무역에서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김포골드라인을 타고 있다. 개선의 여지가 있느냐"고 물었다. 체험을 끝낸 뒤에는 "교통복지 이전에 교통정의에 관한 문제로 정의롭지 못하다"는 소감을 남겼다.

김포 시민들이 서울로 출근하려면 정의롭지 못한 김포골드라인에서 진을 빼고 김포공항역에서 5호선을 환승해야 한다. 김포 한강신도시, 인천 검단신도시 주민들이 서울 직결 GTX-D노선을 학수고대했던 이유이다. 국토교통부의 '김부선' 결정도 수많은 전문가 토의를 거친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그 많은 전문가 중에 현장 체험을 해 본 사람이 한 사람이라도 있는지 궁금하다.

여당의 유력한 대권 경쟁자인 이 의원의 김포 지옥철 체험은 '정답은 현장에 있다'는 행정의 기본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행정의 기본이 유력 정치인의 민생 체험 이벤트로 확인되는 현실이 안타깝지만, GTX-D노선의 재검토 계기가 됐으니 다행이다. 국토교통부의 신속하고 성의있는 계획 보완 및 수정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