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가 내년도 경기도교육청 본예산을 심의하면서 핵심 정책사업 예산 상당액을 삭감한 것에 대해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그러면서 지역구 예산을 말하는 도의원이 있다. 그건 안 될 일"이라고 말했다.
임 교육감은 15일 오전 도교육청 북부청사에서 출입기자 차담회를 갖고 "예산 삭감으로 학생들이 피해를 보는 상황에서, 특정 지역만 챙길 순 없다"며 "철저하게 우선 순위를 구분해 편성하고 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회가 구도상 도지사는 민주당, 교육감은 국민의힘이라고 나름대로 설정하고 크로스로 균형을 맞추려고 하는 것 같다"면서 "그러나 교육에는 여야가 없다. 교육청 예산은 교육에 쓰이지 않으면 기금 형태나 예비비로 남는데, 그러면 의회에도 득이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태희, 북부청사 출입기자 차담회
"혁신·꿈의학교 예산 교육청 재량
다른 지역 전파 벤치마킹 하도록"
임 교육감은 도과 도교육청은 예산 재원부터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도는 지방세 등을 재원으로 하지만, 도교육청 예산은 중앙정부 교부금 등으로 이뤄져 법적으로 교육에 써야 한다는 것이 임 교육감의 주장이다.
그는 그러면서 "교육이 아닌 다른 곳에 쓸 수 없는 예산을 못쓰게 해놓고, 그러면서 교육 여건 나쁘다는 얘기를 한다"고 도의회의 행태를 꼬집었다.

임 교육감은 혁신교육, 꿈의학교 등 전임 교육감들이 추진한 사업들을 세부적으로 평가해 선별 추진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혁신교육이 10년 됐는데, 지금 현장에 혁신교육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10년 동안 했는데, 그에 대한 평가가 없다. 그저 '혁신교육이 경기도에 57%가 보급됐다'는 정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각 학교가 좀 더 자율적으로 학생들의 역량을 키우는 데 쓸 수 있도록, 혁신학교와 꿈의 학교 예산을 학교와 교육지원청의 재량에 맡길 것"이라며 "다만 혁신교육 프로그램으로 시작해 좋은 결과를 낸 사례가 있다면 다른 학교, 다른 지역으로 전파해 학교들이 서로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