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특별·광역시 중 가장 많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한 곳은 인천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가운데, 전기 생산 지역에 요금을 차등 부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전력공사의 12월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행정구역별 전기 발전량은 인천시가 5만4천283GWh(기가와트시)로 7대 특별·광역시 중 가장 많았다. 이어 고리원자력발전소가 있는 부산(4만6천579GWh), 울산(3만3천640GWh) 등의 순으로 전기 발전량이 많았다.
인천 전기 발전량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력은 유연탄(2만5천298GWh)이다. 인천 영흥석탄화력발전소는 1~6호기가 유연탄을 연료로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인천 전력자급률은 212%로 높았다. 인근 서울 지역 전력자급률은 8%다. 전력자급률이 높을수록 지역 사용량보다 생산량이 많고 낮을수록 다른 지역에서 공급받는 전력이 많다. 인천에서 생산한 전력은 지역 주민이 사용하는 양보다 많은데, 서울 등 다른 지역에 전력을 공급한다는 의미다.
작년 한해 동안 발전량 '5만4283GWh'… 7대 도시중 가장 많아
생산 전력 지역주민 사용량 보다 많지만 서울 등 타지역 공급
영흥화력 온실가스 60% 감수… 전기료 인상폭 커 "혜택 필요"
영흥석탄화력발전소는 미세먼지, 온실가스 배출 등 지역 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실제로 영흥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인천 전체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감수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상황이지만 전기요금 등은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기 등 에너지 요금 인상 폭이 가파른 가운데, 전기를 생산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 차등 요금제 적용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올 상반기 중 전기 요금 인상 동결 방침을 밝혔지만, 하반기에는 올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전력공사 적자 규모가 30조원으로 추산되는 상황에서 에너지 요금 인상 폭도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회 산업통상중소벤처기업위원회 양이원영(민·비례) 의원은 지난해 11월 지역별 공급 비용 차이를 전기 소매요금에 반영하는 '전기사업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기도 했다. 이 전기사업법 개정안은 전기 요금의 공급 비용 차이를 소매요금에 반영하는 게 주된 골자다.
인천시는 전기 발전량이 많은 광역자치단체들과 협의해 전기 요금이 차등 적용되도록 행정력을 모으겠다는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전국에서 전력 발전량이 가장 많은 충청남도와 전력 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데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면서 "전기사업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필요한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