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운영기관이 지하철 밀집도가 심각할 경우 무정차 통과할지 여부를 필수적으로 검토하는 방안(3월 29일자 2면 보도=지하철 밀집도 심각땐 '무정차 통과여부' 필수 검토)이 논란이 되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전면 백지화'를 지시했다.

3일 국토부는 원 장관이 긴급회의를 직접 소집해 도시철도 혼잡의 해결책으로 제시됐던 '무정차 통과' 방안과 관련해 "전면 백지화하라"는 특별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원 장관은 "무정차 통과 대책은 내부 검토 과정에서 하나의 정책 예시로 검토되었던 것이지만, 국민이 납득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근본적인 문제해결책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전면 백지화를 하라"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어려움이 있고,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차량편성·열차 운행횟수 확대, 승강장 확장 등 수송용량을 증대해 도시철도 혼잡상황을 정면으로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규모 행사 또는 축제 등으로 무정차 통과가 필요한 예외적인 경우, 현재도 관계기관 간 협조로 대응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도시철도의 혼잡위험도에 관한 재난관리 대책이 출·퇴근 등 일상생활에 적용되는 것처럼 오인돼 국민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안겨주게 된다"며 관련부서에 특별지시를 내렸다.

앞서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인파 집중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철도안전관리체계 기술기준'을 개정하겠다고 지난달 28일 밝혔다. 이 개정안에는 혼잡도가 '혼잡'~'심각' 단계일 경우 철도 운영기관이 무정차 통과 여부를 필수적으로 검토하도록 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었지만, 지하철을 이용하는 직장인들 사이에서 오히려 출퇴근이 더 어려워지는 것이 아니냐며 우려하는 반응이 나오자 원 장관이 전면 백지화 조치를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