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jpg
사진은 경기도내 한 대학교 구내식당에서 학생들이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경기도 내 대학의 학생 식당이 사라지면서 학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학생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 중인 '천원의 아침밥'보다 시급한 건 다양한 '학식'(학교식당)을 접근이 편리한 곳에서 누릴 수 있는 권리라고 한목소리를 낸다.


14일 도내 대학가에 따르면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용인)와 한신대학교(오산)에서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학식은 각각 3곳이었다가 2곳과 1곳으로 줄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결정적이었다. 3년여 전, 학교에 상주하던 학생들이 떠나면서 식당을 운영하던 외주업체들이 임대료를 내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다 식당 운영을 포기한 것이다.

엔데믹과 함께 학교로 학생들이 다시 돌아온 현재도 여전히 운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주변 대학들의 상황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임대료 부담에 식당들 운영 포기
일상 회복됐지만 복구 기미 없어


이처럼 학생들이 '학식 선택권'을 잃는 사이, 정부와 도가 합심해 추진 중인 천원의 아침밥 사업이 주목을 받는다.

아침밥을 학식에서 천원에 제공하는 것인데, 도는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진행 중인 사업에 추가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식수인원 1인당 정부가 1천원, 도가 1천원을 지원하게 되면서 부담을 줄인 대학의 참여가 23개교(기존 5개교)로 늘게 됐다. 단국대와 한신대도 참여 대상에 포함됐다.

하지만 학생들은 그다지 달갑지 않다는 반응이다. 아침밥 수요도 한정적일뿐더러, 점심·저녁 식사 또한 학식이 사라져 제대로 이용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단국대에 다니는 백모(24)씨는 "교직원 식당과 분식 정도를 제외하면 사실상 남은 학생식당은 하나뿐인데, 수업이 (식당과) 먼 강의실에서 잡히면 20~30분은 족히 걸려 학식을 포기하고 만다"고 말했다. 이어 "학교 앞 상권에 나가도 이제 한 끼에 만원은 넘게 써야 해 굶거나 도시락을 싸는 학생들이 많은데 아침 식사보다 늘 이용했던 식당을 복구하는 게 우선"이라고 짚었다.

굶거나 도시락 싸오는 경우 많아
"천원의 아침밥보다 시급" 목청


이에 대해 단국대 관계자는 "코로나19 당시 식수 인원이 크게 줄어 외주 업체가 버티지 못하고 떠난 것"이라며 "그 뒤 분식업체를 입점시켰고, 교직원 식당 등을 통해 학생들의 먹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신대 관계자는 "식당을 열어달라는 학생들의 요구 사항을 알고 있다"며 "추가로 운영할지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