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용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청 전경. /경인일보 DB
 

인천시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에 따른 지역사회 불안을 줄이고 수산물 안전성을 높이고자 수산물 안전 검사, 원산지 표시 단속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

22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시 수산기술지원센터는 올해 1월부터 이날까지 방사능 검출을 포함한 수산물 안전성 조사 137건을 진행했다.

올해 검사 목표는 220건이다. 수산기술지원센터는 2020년 110건, 2021년 177건, 2022년 217건의 수산물 안전성 조사를 했다. 조사분야에 방사능 항목이 추가된 건 2021년부터다.

수산기술지원센터는 수산물 시료 수거, 안전성 조사·분석 시험 업무를 맡고 있다.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 발표 이후 방사능 조사 품종을 모든 품종으로 확대하는 등 안전성 조사를 강화하고 있다.

수산기술지원센터는 수산물의 방사능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도 마련할 예정이다.

기존 방사성 핵종 외 아직 수산물 잔류 기준이 없는 삼중수소(트리튬) 잔류 기준이 마련되면 분석시험법, 정밀분석시스템을 추가로 구축하고 전문인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센터는 수산물 내 세슘 검출 시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추가 방사성 핵종 분석을 의뢰하기로 했다. 


불법행위 특별단속 진행
방사능 조사 모든 품종으로 확대
소비 촉진 홍보활동도 추진 방침


인천시는 수산물 원산지 표시 지도·단속 또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인천시는 올해 수산물 원산지 표지판 5천개를 제작해 지역 수산시장과 위판장에 배부했다. 인천시는 특별사법경찰, 수산기술지원센터, 군·구 합동으로 지난 14일부터 수입 수산물 유통업체, 도·소매업소 등을 대상으로 원산지 거짓·혼동 표시 등 불법 행위를 적발하기 위한 특별 단속을 진행 중이다.

지역 어시장, 전통시장, 일반음식점(횟집) 등을 대상으로도 일본산 수산물이 국산으로 둔갑할 개연성이 있는 가리비, 참돔 등의 원산지 표시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수산물 소비 위축을 막기 위한 각종 홍보 활동도 추진할 방침이다. 인천 옹진군은 지난 17일 군청 구내식당에서 공무원과 수산업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안전한 옹진 수산물 소비 촉진 시식행사'를 했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 6월 22~25일 지역 어시장에서 수산물을 구매할 경우, 구매액의 30%(1인 2만원 한도)에 해당하는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기도 했다. 수산물 소비가 위축되는 분위기가 확산한다면 이 같은 행사가 이어질 전망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시민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조사량, 품목, 항목 등을 확대하고 있다"며 "관계 기관 협의를 지속하면서 보완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