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대의원 투표 비중을 낮추는 당헌(제25조)과 내년 총선 경선 시 현역 의원 패널티를 강화하는 당헌(제100조)을 개정하기로 최종 의결했다. 대의원제 축소로 인해 다음 전당대회부터는 강성 지지자들의 목소리가 한층 커질 전망이다.
변재일 민주당 중앙위원회 의장은 7일 국회 본청에서 제2차 중앙위원회 개표 결과 “중앙위원 총 605명 중 490명, 전체 80.99%가 투표에 참여했다”며 “이중 찬성 331명으로 67.55%, 반대 159명 32.45%로 재적 중앙위원 과반 이상이 찬성했기에 의결 안건 제1호 당헌 개정의 건은 가결됐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부터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2차 중앙위원회를 열고 찬반 입장이 팽팽하게 갈리는 등 중앙위원들 간의 입장차를 확인하며 토론을 진행했다. 이번 중앙위원회가 열린 것은 지난달 24일 최고위원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전당대회 투표에서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표 반영 비율을 현행 ‘60대1 이상’에서 ‘20대1 미만’으로 낮추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가결한 것에 대한 후속 절차다.
쟁점이 된 부분은 대의원제 부분이다. 정당의 주인은 당원이라면 대의원들의 의견이 과대 표집되는 것은 맞지 않다는 논리인데, 이번 개정 결정으로 민주당 강성 지지자들이 그간 요구해온 사안이 반영되면서 당내 계파 갈등으로 비화될 가능성도 예상되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투표에 앞서 “민주당이 국회에서 강력하게 저지하고 있기에 (정부여당이) 시스템을 붕괴시키는 일까지는 못하고 있지만, 내년 총선 결과에 따라서는 지금보다 훨씬 더 엄혹한 상황이 만들어질 것이 분명하다”며 “국민이 볼 때 만족하지 못할 수준이긴 하지만 공천 시스템에 약간의 변화를 줘서 혁신의 모습을 국민께 보여주는 것도 우리가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반명 비명계는 반발했다. 원칙과상식 모임의 이원욱 의원은 “직접민주주의가 정치권력과 결합할 때, 포퓰리즘과 정치 권력이 일치할 때 독재 권력이 된다”며 “우린 그 경험을 최근에도 봤다. 나치, 그리고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태극기부대의 결합이다. 우리는 바로 그 모습을 닮아가고 있다”고 날선 비판을 했다.
박용진 의원은 공천룰 개정과 관련해 “당헌당규에는 경선 규정을 바꾸려면 1년 전에 하라고 돼 있다”며 “시스템 공천을 하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을 함부로 바꾸고, 담겨 있던 정신을 훼손하는 건 민주주의와 당 정신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