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유리한 고지선점 위해 동행·지원
제22대 국회의원 총선을 앞두고 광역·기초의회 의원들이 총선체제에 돌입했다. 각 지역구에서 총선 지원 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인데, 이로 인해 4월 중순까지 지방의회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로 방치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인천 시의원과 군·구의원들은 현역 국회의원을 비롯한 총선 예비주자들이 나서는 주요 일정을 챙기며 선거운동을 지원한다. 예비후보자들이 해당 지역을 돌며 주민과의 만남 등 행사를 가질 때면 지방의원 대부분이 동행하고, 일부 지방의원들은 본인의 SNS를 활용해 총선 주자의 홍보를 돕고 있다.
최근까지 이어진 출판기념회·의정보고회에서도 지방의원들은 '얼굴도장 찍기'에 나섰다. 후보 간 경선이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지방의원들이 양쪽 행사를 오가는 등 치열한 '눈치싸움'을 벌였다.
지방의원들이 총선 후보자를 지원하는 주된 이유는 차기 지방선거에서 공천을 받으려는 데 있다. 보통 국회의원은 본인 지역구 시·군·구의원 공천권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지방의원이 지원한 후보가 총선에서 승리하면 향후 지방선거 공천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
인천의 한 구의원은 "총선까지는 그냥 영감님(국회의원) 스케줄에 맞춰져 있는데, 내 선거보다 더욱 열심히 뛰는 거 같다"며 "총선에 나오는 후보 모두 (지방선거 때) 본인 도와준 사람에게 자리(공천)를 주려고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인천의 한 시의원 역시 "예비후보들이 선거운동을 다닐 때 인사만 하는 것보다는 지역 현안을 잘 아는 시의원·구의원들과 함께 다니는 게 훨씬 효과가 좋다"며 "지역 주민들이 현안을 질문했을 때 지방의원들이 민원 해결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희도 당 소속을 가진 정치인이다. 공천 없이 무소속으로 당선되기 쉽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당에 기여해야 한다"고 했다.
지방의원들이 '총선 모드'로 돌입하면서 풀뿌리 의회 본연의 기능이 소홀하게 다뤄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인천시의회는 총선 전 292회 임시회(1월23일~2월5일), 293회 임시회(2월23일~3월8일) 총 2번의 회기를 앞두고 있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치도 세 과시, 머릿수 싸움이기 때문에 그 지역의 조직과 인맥, 네트워크를 무시할 수 없다"며 "단일후보가 아닌 경선, 경쟁하는 지역이나 총선후보자가 많은 상황에서는 지방의원들이 이곳저곳 많이 불려 나가면서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빈틈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