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학익' 방재·악취 용역 시행
저수율 70~80%불구 예산부족 한계
"이상기후 빈번 시민안전 최우선"


0016.jpg
15일 오후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유수지 대부분이 오랫동안 쌓인 퇴적물로 유수지 본연의 방재 기능 유지가 사실상 힘든 실정이지만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준설작업이 뒤로 밀리고 있어 적극적인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24.2.15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도심 호우 피해 예방을 담당하는 인천지역 유수지들의 저수율이 바닥에 쌓인 퇴적물로 인해 70·80%대 수준에 그치고 있다. 저지대 침수 방지 등 방재 기능 유지를 위해 적극적인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학익유수지 매립 및 대체유수지 조성 타당성 검토'를 위해 오는 23일까지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Q)를 진행한다. 인천시는 올해 말까지 해당 용역을 진행해 학익유수지 방재 기능 유지와 악취 개선 방법을 찾고 대체유수지 조성 필요성을 따져볼 계획이다.

인천시가 이번 용역을 시행하는 주된 이유는 악취 때문이다. 2005년 설치된 학익유수지에는 31만5천t의 퇴적물이 쌓여 바닥에서 썩고 있다. 그동안 학익유수지 주변에 주거시설이 적었지만, 올해부터 인근 용현·학익지구에 1만가구 이상이 순차적으로 입주하게 되면서 악취 문제 해결이 시급해졌다.

인천시는 2017년에도 학익유수지를 매립하고 유수지 하부 구간을 송도국제도시 침수 예방 시설인 워터프런트와 연계하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송도 주민들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고, 최근 학익유수지 대체유수지 검토 소식이 알려지자 송도 주민들의 반발이 다시 이어지는 중이다.

이날 인천지역 환경단체들도 학익유수지가 철새 도래지라는 점을 내세워 매립에 반대 입장을 냈다. 이들 단체는 성명서를 통해 "학익유수지는 미추홀구에서 바다로 연결된 유일한 습지"라며 "악취 민원은 바닷물 유통을 늘려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그사이 유수지 본연의 기능인 방재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2020년 인천시 유수지관리기본계획에 따르면 학익유수지 저수용량 113만t 중 퇴적물(31만5천t)을 제외한 빗물을 담을 수 있는 저수율은 72%에 불과하다. 그나마 지난해 10만t을 준설했고, 올해 50억원을 들여 3만t을 추가 준설할 계획이지만, 완전 준설이 아닌 탓에 악취 제거와 저수율 확보에 한계가 있다.

남동유수지 등 다른 유수지들 상황도 마찬가지다. 남동유수지는 46만2천t의 퇴적물이 쌓여 저수율이 86%에 그치고 있다. 석남유수지(퇴적량 6만9천t)와 인천교유수지(퇴적량 12만5천t) 저수율도 각각 88%, 89%다. 특히 석남유수지와 인천교유수지 수질은 환경부 생활환경기준 '매우 나쁨' 수준이다. 악취도 심하다.

인천시는 악취 민원이 많은 유수지를 우선 준설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부분 준설에 그쳐 효율성이 떨어진다. 유수지 관리가 지자체 사무인 탓에 국비 지원도 없다. 석남유수지와 남동유수지 전체 준설에는 각각 108억원, 780억원이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 탓에 사업을 2031년 이후로 미뤄둔 상태다.

신동섭 인천시의회 행정안전위원장은 "핵심 방재시설인 유수지 준설사업이 당장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소외되고 있다"며 "최근 이상기후가 빈번하게 발생해 침수 피해 예방의 중요성이 더 높아진 만큼 관련 예산을 과감히 편성해 퇴적물을 준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남동유수지는 남동국가산단 방재 기능을 담당하는 만큼 국비 공모를 노려 2025년께 부분 준설을 추진하겠다"며 "예산 부족으로 유수지 전체 준설에는 한계가 있다. 가용 범위 내에서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준설사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 관련기사 (인천시, 학익유수지 매립 검토… 환경단체·주민 "사업 중단" 촉구)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