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동기比 8.9% 상승… 칼국수는 평균 9천원대 돌입

 

점심을 먹기 위해 수원시내 한 분식점을 찾은 김모(31)씨는 메뉴판을 살펴보다 깜짝 놀랐다. 기본 김밥가격이 3천500원, 라면이 4천500원이었기 때문이다. 참치 김밥이나 치즈 김밥은 4천원이었다.

김씨는 "라면에 김밥만 먹어도 8천원이 넘는다. 점심값 부담이 점점 커진다"고 하소연했다.

고물가 장기화 속 외식 물가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삼겹살 등 대표적인 외식 메뉴는 물론이고 김치찌개, 김밥 등 쉽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음식들마저 채소 가격 상승세 등과 맞물려 줄곧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17일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 2월 경기도 평균 김밥 한 줄 가격은 3천386원으로 전달 대비 1%(34원) 올랐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8.9%(276원) 상승했다. 이는 김과 채소 가격 상승세와 무관치 않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마른 김 가격은 지난 14일 기준 10장에 1천158원이었는데 이는 평년 가격인 973원보다 185원 오른 것이다. 한달 전 가격 역시 1천104원으로 못지 않았다. 시금치는 같은 날 기준 100g에 792원으로 평년 가격(584원)보다 208원 비싸다. 그나마도 지난달엔 1천198원으로 더 비쌌다. 당근 가격도 1㎏ 기준 4천487원으로, 평년 가격(3천475원)과 1천원 이상 차이를 보였다.

다른 음식 가격도 오름세다. 최근 고물가 장기화로 가성비가 돋보이는 '거거익선' 바람이 편의점에 불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외식 물가 상승세도 이런 트렌드에 한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도내 김치찌개백반 평균 판매가격은 8천66원으로 1월 7천997원보다 0.9%(69원) 인상됐다. 지난해 2월보다는 4.1%(318원) 오른 수치다. 7천원선이 무너진 것이다.

지난 1월엔 8천862원이었던 칼국수 한 그릇 가격은 2월 들어 9천34원으로 1.9%(172원) 상승했다. 밀 가격이 내리는 상황이지만 칼국수 평균 판매가는 처음으로 9천원대에 돌입한 것이다. 자장면 또한 올 1월 6천810원에서 2월 6천879원으로 1%(69원) 상향됐다. 냉면은 1만52원으로 지난 1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비빔밥 평균 가격은 1월 9천179원에서 2월 9천266원으로, 삼겹살은 200g 기준 1만7천472원에서 1만7천557원으로 각각 0.9%(87원), 0.5%(85원) 인상됐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