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50:50' 선출 규정 개정 시작
대의원 낮추고, 권리당원 높일땐
'친명계' 당내 장악력 더 높아질듯


오는 7~8월 선출 예정인 더불어민주당 시·도당위원장 선출 규정 개정 작업이 시작됐다. 당원 중심 정당으로 변화를 꾀하는 민주당이 당원 의사 비중을 높일 방안을 논의하면서 시도당위원장의 선출방식도 권리당원 비중을 높이는 방식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시·도당위원장은 2년 뒤 지방선거에서 후보 공천권을 쥐고 있다.

시·도당위원장은 대의원과 권리당원 등 지역 조직을 총괄한다. 특히 올해 선출될 위원장은 2026년에 있을 지방선거 때 기초자치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에 대한 공천관리권이 있어 경쟁도 치열하다. 지선 때 광역자치단체장 공천은 중앙당이 관할하지만 나머지는 시도당에서 결정한다.

최근 국회의장 후보 선출 과정에서 강성 당원의 지지를 받던 추미애 당선인이 패배하면서 당원 목소리가 더욱 곳곳에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현재 시·도당위원장은 지역 대의원 50%와 권리당원 50% 투표로 선출되는 구조다. 이를 대의원 비중을 낮추고 권리당원 비중을 높이겠다는 방향인 셈이다.

권리당원 표 비중을 높일 경우 강성 권리당원을 지지 기반으로 하는 이 대표와 친명(친이재명)계의 당내 장악력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권리당원 의사 반영 비중을 당대표·최고위원 선출 시와 동일하게 할 지, 시·도당의 특성을 고려해 달리 할 지에 대해서는 지도부 등에서 실무 검토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같은 당의 의중은 22일 열린 민주당 당선인 워크숍에서도 읽을 수 있다. 애초 상임위 논의 진행이 진전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대중 정당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논의와 발제가 주요 화두가 됐다.

강유정 원내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정당의 역사가 바뀌고 있다. 이전에는 민주당이 이념정당이었다면 이제는 대중정당으로 변화되는 환경인만큼 기민함을 보여야 한다"면서 "당원 500만 시대에 맞춰 패러다임 전환도 필요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앞서 이재명 대표도 지난 18일 당원 중심의 대중 정당 전환을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해식 수석대변인은 "시·도당위원장 선출 시에도 권리당원들의 권한 비중을 더 높여야 하지 않겠냐는 취지"라고 말했다.

한편 강득구·문정복·민병덕(가나다순) 의원 등이 차기 경기도당위원장 직을 노리고 있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