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달째 증가세… 7개월만에 최대치
기업대출은 대기업 중심 5조 감소
최근 주택 매매 거래량이 늘면서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한 달 만에 6조원 가량 증가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증가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12일 한국은행의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천109조6천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원 많았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3월(-1조7천억원) 1년 만에 뒷걸음쳤다가 4월(+5조원) 반등한 뒤 두 달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5월 증가 폭(+6조원)은 지난해 10월(+6조7천억원) 이후 7개월 만에 최대치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870조7천억원)이 5조7천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7조8천억원)이 3천억원 각각 늘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은행 가계대출이 주담대를 중심으로 증가세를 지속했다"며 "주택 거래 증가 등에 따른 자금 수요가 지속되고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이 이차보전 방식으로 공급되며 증가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지난해 12월 2만4천건으로 줄어든 뒤 올해 들어 1월 3만1천건, 2월 3만건, 3월 3만9천건, 4월 3만7천건 등 3만건 이상의 거래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달 은행 기업대출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4월보다 줄었다. 은행 기업대출 5월 말 잔액은 1천291조6천억원이다. 4월 11조9천억원에서 5월 6조9천억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 대출 잔액은 268조원으로 증가 폭은 4월 6조5천억원에서 5월 1조1천억원으로 줄었다. 4월에 발생한 분기 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배당금 지급 등 계절적 요인 소멸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했다는 게 한국은행 측의 설명이다.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1천23조원6천억원으로 집계됐다. 4월 5조4천억원에서 5월 5조8천억원으로 늘었다. 이는 일부 은행의 기업대출 영업 강화, 시설자금 수요 확대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