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여의도와 30분거리인 김포시 마산동 등에 ‘김포한강2’가 들어선다.
국토교통부는 김포한강2에 대한 관계기관 협의,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가 완료돼 오는 31일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고시한다고 30일 밝혔다.
김포시 마산동, 운양동, 장기동, 양촌읍 일원 731만㎡ 땅에 4만6천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김포한강2는 하남 교산(3만3천가구), 고양창릉(3만6천가구), 부천대장(1만9천가구), 인천계양(1만7천가구) 등 웬만한 3기 신도시보다 큰 규모로, 2030년 최초 분양을 목표로 한다. 인접한 기존 김포한강1지구(5만6천가구)와 합하면 10만2천가구로 분당급(9만7천600가구) 신도시가 되는 셈이다.
또한 연접한 김포장기지구(5천가구), 김포양곡지구(5천가구), 김포감정1지구(4천가구)까지 더하면 총 11만6천가구 규모의 수도권 서부 거점도시가 될 거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국토부는 여의도까지 30분내 접근이 가능한 철도중심의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하고, 병목구간 해소 등 주변지역 교통여건 개선을 위한 도로대책도 수립하여 지역의 심각한 교통난을 해소할 계획이다.
김포한강2는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시기능을 압축, 고밀 개발하는 ‘콤팩트시티’ 개념을 도입한 게 특징이다. 현재 서울 5호선 지하철이 검단을 거쳐 김포한강2까지 이어지도록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국토부는 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의 광역교통위원회 심의 및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과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등 행정절차를 조속히 추진하고 이를 통해 여의도까지 30분 내로 접근이 가능한 철도 중심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김포한강2 공공주택지구는 청년·무주택 서민의 내 집 마련 기회 확대와 동시에 심각한 교통난 해소라는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현 정부에서 발표한 평택지제(3만3천가구), 구리토평2(1만8천500가구), 용인이동(1만6천가구), 오산세교3(3만1천가구)도 내년까지 신속히 지구지정을 완료해 김포한강2를 포함해 수도권에 15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