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옛 시민회관 쉼터에서 열린 ‘5·3민주항쟁 39주년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25.5.3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3일 오후 옛 시민회관 쉼터에서 열린 ‘5·3민주항쟁 39주년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25.5.3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인천5·3민주항쟁 39주년 기념식’이 3일 오후 옛 시민회관 쉼터에서 개최됐다. 1986년 5월 3일 인천 남구(현 미추홀구) 시민회관 사거리 일대에는 노동자, 농민, 대학생 등 각계각층에서 5만여명이 운집했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최대 시위였다. 전두환 정권의 군부독재에 저항하고, 직선제 개헌을 주장했다. 또 노동 3권 보장 등 다양한 주장과 구호가 공존했다. 많은 이들이 연행되고 구속돼 고초를 겪었고, ‘6월 항쟁’의 시발점이 됐다. 이듬해인 1987년 직선제 개헌이 이뤄졌다.

하지만 인천5·3항쟁은 수십 년간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다. 2023년 4월 인천5·3항쟁은 37년 만에 민주화운동으로서 법적 지위를 가졌다. 국회를 통과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안으로 인천5·3항쟁이 민주화운동 범위에 포함됐다. 개정 전 2·28대구민주화운동, 3·8대전민주의거, 3·15의거, 4·19혁명, 6·10항쟁, 부·마항쟁 등은 모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담겨 있었다. 5·18민주화운동은 특별법으로 제정됐다. 이들 민주화운동은 모두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인천5·3항쟁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포함된 지 2년이 지났으나 국가기념일이 아니다.

‘인천5·3항쟁 39주년 기념식’ 참석자들은 국가기념일 지정을 강조했다. 이민우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장은 시 기념일을 넘어 국가기념일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이날부터 옛 시민회관 쉼터를 ‘5·3민주공원’으로 명칭을 바꾸고, 이 일대 도로를 ‘5·3민주로’로 하는 명예도로 지정을 위한 청원운동도 벌이기로 했다. 인천시도 내년에 40주년을 맞는 인천5·3항쟁일을 ‘인천시기념일’로 지정하기 위해 오는 7월 조례 제정을 추진 중이다. 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 계획도 밝혔다.

‘인천5·3항쟁 39주년 기념식’ 직전 옛 시민회관 쉼터-주안역-주안1동 성당을 거쳐 다시 시민회관 쉼터로 돌아오는 ‘시민 함께 걷기’가 개최됐다. 기념식 후에는 5·3합창단의 축하공연도 열렸다. 또한 오는 9일까지 인천지하철 1호선 인천시청역에서 ‘다시 부르마, 민주주의여’를 주제로 인천5·3항쟁 사진전이 진행 중이다. 앞으로 기념 행사는 더 다채로워질 필요가 있다. 1년 남은 인천5·3항쟁의 40주년을 기리고, 국가기념일 지정을 위한 지역사회의 의지와 노력을 모아야 할 때이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