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공의료 품질 향상 전환

수원 등 3곳 시스템·플랫폼 도입

경기도가 ‘2025년 경기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을 시행, 수원·안성·이천 등 3개 공공의료원에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한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2025년 경기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을 시행, 수원·안성·이천 등 3개 공공의료원에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한다. /경기도 제공

‘AI가 의료영상을 판독한다?’

경기도가 공공의료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공공의료 현장의 AI 전환에 나선다.

경기도는 ‘2025년 경기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의 최종 수행기관으로 ‘유신씨앤씨 컨소시엄’을 선정하고, 수원·안성·이천 등 3개 공공의료원에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한다고 12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의료영상자료를 AI가 학습하고 진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AI 진단보조시스템’은 의료기관의 기존 PACS(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와 연동돼 실시간 진료에 활용된다.

폐결절·유방암·치매·뇌졸중 같은 주요 질환의 영상 판독 등 의료진의 판독 업무를 보조해 진단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실증사업은 오는 11월까지 약 7개월간 진행된다. 도는 사업 종료 시점에 맞춰 성과공유회를 열고, 시스템 운영 결과와 의료데이터 활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후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확대 여부를 검토하고, 향후 경기도 AI 의료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김기병 도 AI국장은 “AI를 활용한 공공의료 서비스 품질 향상과 AI와 공공의료 데이터 연계를 기반으로 한 의료 AI 생태계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