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되면 지방분권·이양 최우선 시행
현장중심 정치 천명 “국가운영의 교과서”
“중앙정부가 예산·규제로 지방 억눌러…
서울도 재개발·재건축해 구도심 살려야”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는 15일 중앙당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지방의 현실이 너무나 참담하다”며 “대통령이 되면 즉각 지방분권과 지방 이양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이날 2박3일간의 지방유세를 마친 뒤 상경해 열린 선대위 회의 모두발언에서 “지방 시장에서는 연세 많은 어르신들이 미나리, 마늘, 고추 등을 팔며 하루 종일 장사해도 10만원 남짓 버는 현실”이라며 “이제는 상인이 아니라 복지의 시선으로 이분들을 바라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정치는 무엇을 해야 하며, 대통령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며 현장 방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후보가 선거운동 와중에 이날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 당과 정치권에 정치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짐한 발언은 조직을 독려하기 위한 것으로 보였다.
그는 특히 “행복은 건강, 직장, 소득, 미래희망이 있을 때 가능한데 지방의 어르신들은 이 모든 요소에서 소외되어 있다”며 “정부가 정신 차리지 않으면 이분들은 어디에도 의지할 곳이 없다”고 꼬집었다.
김문수 후보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자치와 분권의 필요성을 강하게 피력했다.
김 후보는 “지방은 인구도 줄고 젊은이도 없어지고 있다. 그런데도 중앙정부는 예산과 규제를 통해 지방을 억누르고 있다”며 “그린벨트 역시 개발제한이라는 이름 아래 경제를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린벨트에는 실제로 ‘그린’도 없다”며 “정부 각 부처가 지방발전을 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김 후보는 인허가권, 인사권, 지방교부금 등 지방권한의 전면적인 이양과 재정제도의 획기적 개선을 공약했다.
김 후보는 그러면서 “지방이 스스로 개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서울 역시 재개발·재건축을 통해 쇠퇴한 구도심을 되살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기도지사 시절 ‘도정을 현장 속으로’ 철학을 전면에 세우고 난제들을 해결한 경험이 있는 그는 끝으로 “정치인과 공무원 모두 현장을 알아야 한다. 현장은 국가운영의 교과서”라고 강조했다.
/정의종·김우성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