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까지 452만㎡ 규모로 고시
연합대책위 “마당있는 산단 필요”
LH “수요조사후 대안 마련 계획”
3기 신도시인 화성진안 공공주택 조성사업 지구 내 기업 1천여 곳이 대책 없이 쫓겨날 위기에 처했다.
15일 화성시와 화성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024년 2월 화성시 반월·진안· 반정·기산·병점동 일원 452만5천533㎡에 3만4천여 세대를 오는 2032년까지 공급하는 화성진안 공공택지 조성의 신도시 건설을 고시했다.
그러나 LH는 토지이용계획상 사업지구 내 기업인들을 위한 대체부지 조성 계획을 담지 않아 지구 내 1천100여 곳에 달하는 기업인들이 갈 곳 없이 각자도생으로 뿔뿔이 흩어지게 됐다.
이에따라 기업·주민·지주 등으로 구성된 화성진안 3기신도시 연합대책위원회는 사업 지구 내 대체부지를 마련해 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토지보상법 제78조(이주대책)는 공익사업 시행으로 생활의 근거를 상실하게 되는 자(이주대책대상자)에 대해 이주대책을 수립, 실시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으나 LH는 공장 이주대책과 기업이전 전용단지 지정을 수립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사업장과 연계된 1천여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은 대체부지가 마련되지 못하면 높은 지가 등으로 인해 사실상 인근 부지를 확보할 수 없는 데다가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주하면 물류비 상승으로 경쟁력을 잃게 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보상계획도 2028년부터 시작될 예정인데 행위제한이 묶여있어 기업들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적기납품을 위한 기업들의 증개축 등이 막혀 있는 데다 언제 나올지 알 수 없는 보상금으로 이전부지를 마련하기도 쉽지않다. 이들은 또 제조업 특성상 소음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물건 적재 등의 필요성으로 마당이 있는 산업단지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지 지식산업센터 같은 아파트형 공장 입주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와관련 LH 관계자는 “자족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식산업센터가 들어갈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수요조사를 실시해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화성/김학석기자 marskim@kyeongin.com
화성/김학석기자 mar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