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 독자위 4월 모니터링 요지

 

이주노동자 실태 현실감 있게 다뤄 인상적

불공정한 공직선거법 다룬 기사 ‘유의미’

‘尹 선고 시청권고’ 도교육청 대처 지적 눈길

경인일보는 지난 4월 지면을 평가하는 독자위원회를 비대면으로 진행했다. 황의갑(경기대학교 교수) 위원장과 문점애(전 화성금곡초등학교 교장)·조용준(안산미래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위원이 참여했다.

위원들은 미군이 동두천시 한 마을 진입에 필요한 통행증의 신규 발급을 중단한 문제를 다룬 <육지 속 섬 ‘걸산동’ 통행제한 논란> 연속 보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후속 보도를 요청했다.

황의갑 위원장은 “전입 주민의 통행증 발급마저 제한하는 이해하기 어려운 행정을 잘 꼬집은 기사”라며 “특히 기지 밖에 별도의 도로를 마련해야 한다는 대안과 시민들이 무기한 1인 시위에 돌입한 상황까지 지역의 이슈를 꼼꼼하게 다룬 게 돋보였다”고 했다.

이어 “실질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도록 경인일보에서 꾸준히 추적 취재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고 부연했다.

외국인보호소 안팎에서 난민과 이주노동자가 처한 현실을 다룬 <보호란 이름의 감옥, 추방 앞에 사람들> 연속 보도에 대해서도 황의갑 위원장은 “외국인보호소에서 온 손 편지를 그대로 번역한 게 독자에게 사연이 와닿게 만든 장치였던 것 같다”며 “한국에서 낳은 아이와 이별해야 하는 상황과 송환을 서두르다 인권침해가 발생할 우려가 큰 점 등 이주노동자들의 실태를 현실감 있게 다룬 점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현장체험학습이 축소되는 문제를 다룬 <경기도내 초교 절반 ‘올해 현장학습 안간다’>(4월11일자 5면 보도)·<사고 책임 무섭다며… 쇼핑몰로 체험학습>(4월14일자 7면 보도)에 대한 호평도 이어졌다.

문점애 위원은 “체험학습에 간 초등학생이 숨진 사건에 대해 교사의 책임이 인정되면서 봄철 현장학습이 축소되는 세태를 잘 짚어줬다”면서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배울 기회가 줄고, 진행하더라도 목적에 맞지 않게 운영되는 경우가 많은데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관련 보도를 이어갔으면 한다”고 했다.

이어 <“학교내 CCTV 단순 설치 넘어… 관제 기능 연계해야”>(4월3일자 4면 보도)에 대해 문점애 위원은 “교육청이나 지자체 관제센터와 연계해 학교에 설치된 CCTV를 통합관제해야 한다는 주장을 다룬 기사”라며 “실제 학교에서는 교내 CCTV의 화질이 좋지 않아 식별이 어렵거나 관제센터가 없어 사고 직후에 알아차리지 못하는 문제가 나타난다”고 했다.

이어 “단순히 CCTV를 설치해야 한다는 수준의 논의를 벗어나 학생들의 안전사고 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안이 강구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위원들은 다양한 평가를 내렸다. 조용준 위원은 <[뉴스분석] 대선 도전 ‘같은 종목·다른 조건’ 불공정한 공직선거법>(4월14일자 1면 보도)에 대해 “누군가는 사퇴 후 출마 선언을 해야하고, 누군가는 직을 유지한 채 출마 선언하는 상황을 다룬 기사”라며 “조기 대선 체제를 앞두고 독자들의 이해를 도운 유의미한 기사”라고 호평했다.

<[이슈&스토리] 11바퀴 돌아온 ‘세월의 아픔’, 이제 더 넓게 기억하길>(4월11일자 10면 보도)에 대해 황의갑 위원장은 “조례 개정을 통해 강 교감을 세월호 참사 희생자로 공식 기억하는 등 교육계의 역할과 책임을 다시 돌아보게 만든 계기를 짚어준 기사”라면서도 “강 교감이 생존자로서 느꼈던 고뇌와 죄책감 등을 다뤄 참사 희생자의 범위를 확대하는 의미를 풍부하게 담아줘도 좋았을 것 같다”고 평했다.

문점애 위원은 <도교육청, 尹선고 시청권고 없어… 현장은 혼란만>(4월3일자 7면 보도)을 두고 “윤 대통령의 탄핵 선고 하루 전 전국 시·도교육청이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일선학교에 생중계 시청을 잇따라 권고했지만, 도교육청은 별도 공문이 없어서 민원이 우려된다는 내용의 기사”라며 “도교육청의 안일한 대처와 학교에 책임을 떠넘긴다는 점을 과감하게 지적한 기사라 눈에 띄었다”고 했다.

황의갑 위원장은 <모바일로 장보는 시대에… 대형마트 제한 “효과 글쎄”>(4월1일자 8면 보도)에 대해 “유통 질서가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됐지만 전통시장 상인을 보호하는 목적의 규제는 20년 전에 머물러 효용이 없다는 점을 짚은 기사”라며 “온라인 마켓 급증으로 전통시장과 골목 슈퍼의 입지가 줄고있는 현실을 지적한 문제의식이 돋보였다”고 평가했다.

조용준 위원은 <“애 안 낳는 여성, 감옥 보내야 남녀 공평” 수업중 발언에 ‘공분’>(4월22일자 6면 보도)에 대해 “인천의 한 여고에서 수업 중 혐오를 부추기는 말을 내뱉은 교사에 관한 기사”라며 “교사가 교실 내에서 혐오를 조장하는 상황을 잘 다뤄줬고, 향후 교육당국의 대처 등에 대해서도 후속보도가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아쉬운 평가도 있었다. <바닥 긁는 서민가계… 대학교 등록금 인상에 ‘교육물가’ 껑충>(4월8일자 2면 보도)에 대해 조용준 위원은 “교육비 인상 때문에 서민가계가 어려움을 겪는다는 내용의 기사”라며 “등록금은 그동안 계속 동결상태로 이어졌고 매우 오랜만에 인상됐는데, 이런 배경을 짚지 않으면 독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촛불 키고 골프공 닦던 50대 아파트 화장실서 폭발 사고>(4월1일자 6면 보도)에 대해서도 “본문에는 촛불을 ‘켜다’로 적었지만, 지면 제목에는 ‘키다’로 나왔다”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목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