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 자치권 시대를 여는 지방상수도를 아시나요?”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팔당댐 원수를 정제해 공급하는 광역상수가 수도권 주민들의 음용수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지하수나 자연담수에서 물을 얻던 시대를 지나 광역상수도가 음용수 공급원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물 자치권 시대에 지방자치에 맞는 지방상수도가 대안으로 떠으르고 있다.
19일 경기도내 인구 50만 이상 자치단체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광역과 지방상수도 공급비율이 수원시의 경우 78%대 22% ▲용인시 75%대 25% ▲성남시 34%대 66% ▲남양주시 76%대 24%▲안산시 26%대 74% ▲평택시 95%대 5% ▲시흥시 32%대 68% ▲파주시 62%대 38%이며 ▲부천시와 안양시는 지방상수도 100% ▲고양시와 화성시는 광역상수도 100% 의존율을 보이고 있다.
고양시와 화성시는 지방상수도가 없고, 부천시와 안양시는 지방상수도만 운영하고 있으며 수원시와 용인시를 비롯해 7개 자치단체는 광역과 지방상수도를 병행 운영하고 있다.
이로인해 광역상수나 지방상수 모두 팔당댐 원수를 이용하지만 정제(소독 등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주체가 지자체인 지방상수도 확충 요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광역상수도의 경우 물 운송 거리가 지방상수도에 비해 길어 관로 증설시 자연훼손이 불가피한데다 자치단체의 추가 용수공급 요청시에도 한국수자원공사와 협의가 제때 이뤄지지 않아 적기에 수요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지방상수도는 광역상수도에 비해 물 운송거리 단축에 따른 탄소배출 감소효과와 지역 수도시설 유지보수 등에 필요한 인력과 자재 수급으로 지역경제활성화 효과가 뛰어나다.
이에따라 용인시가 SK반도체 산업단지와 삼성반도체 국가산업단지 등 개발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자 중장기적인 안정적 식용수 확보를 위해 지방상수도 확충에 선제적으로 나서고 있다.
시는 2002년 1일 5만t 처리 규모의 용인정수장을 가동해 지방상수도 시대를 연데 이어 2008년 1일 10만t 처리 용량으로 늘리고, 추가로 10만t 증설공사가 진행중으로 내년부터 1일 최대 20만t 처리용량이 가동될 예정이다. 현재 기흥구와 수지구 지역은 광역상수, 처인구 지역은 지방상수를 공급하고 있다.
용인시 상수도사업소 관계자는 “지방상수도 증설시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기는 하지만 광역상수도 관로 확충에 따른 국가예산 부담이 늘어나기는 마찬가지”라며 “무엇보다 물 자치권 확보를 위해서라도 광역상수보다는 지방상수도 확충에 대한 정부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용인/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