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궐선거. 국민들이 투표를 통해 내리는 심판이다. 바로 4.24 재보선 선거가 그 예다. 선거운동이 공식적으로 시작되면서 각 정당과 후보자들이 분주하다.

특히 이번 재보선 선거는 지난 대선이후 국민들의 마음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판가름하는 하나의 잣대가 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관심이 있다. 노대통령의 참여 정부가 내세운 각종 정책과 인물들에 대해 과연 국민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그 속내의 일부라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에 따라서는 더 강력한 개혁의 길로 갈 것인지 아니면 정책의 변화로 선회할 것인지를 가늠하는 계기가 될 수 도 있다. 이미 거대야당인 한나라당은 이번 재보선을 '부패·무능·공작정권'에 대한 심판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민주노동당은 반전여론의 극대화를 통해 기존정당의 반평화성을 폭로하는 등 색깔로서 승부수를 잡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여당인 민주당은 야당의 폭로정치에 염증을 느낀 국민들이 '정국 안정'을 위해 현명한 심판을 해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그러나 각 당이 내세운 페어플레이라는 구호와 달리 이번 선거에서도 이기고 보자는 선거운동이 그대로 재현될 것 같다. 선거는 서울 양천을, 경기 고양시 덕양갑, 의정부시 등 국회의원 선거구 3곳, 경남 거제시장과 충남 공주시장 등 기초단체장 2곳 등 총 32곳에서 실시된다.

그러나 이미 총력대응이라는 표현에서 나타나듯이 서로가 수도권의 민심향방을 좌우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지도부가 정당연설회에 나서고, 중앙당 차원에서 득표전에 가세할 계획도 잡혀 있다.
 
하지만 '사스'와 이라크 전쟁으로 지치고 불안한 국민들의 반응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 그 첫 번째는 투표율이다. 국내정세에 연연하는 정치권의 반복되는 구태에 냉담한 국민들은 과연 어느정도 투표할 것인가. 두 번째는 연합공천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이다.

민주당과 개혁당의 연합공천후보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에 따라서는 정계개편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촛불시위로 상징되는 반전평화운동에 대한 국민들의 정서다.

과연 평화적 생존권에 대한 국민들의 열망이 어떻게 표로 나타날까 하는 점도 선거의 변수다. 아무튼 이번 보궐선거는 집권당에 대한 평가가 될 것인지, 정계개편의 진원지가 될 것인지, 그리고 반전평화운동의 시발점이 될 것인지를 심판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정치권도 일정부분 변화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