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12일 시민단체인 참여연대가 17대 총선 낙선 및 당선운동을 공식 선언한 것을 놓고 각 당의 입장에 따라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한나라당과 자민련은 '초법적 발상'이라며 강하게 비판했고, 민주당은 “취지는공감하나 법 테두리내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경계했으며, 열린우리당은 “정치개혁을위한 충정의 발로”라며 적극 환영했다.
 

◇한나라당=지난 16대 총선에서 시민단체 낙선·낙천운동으로 인해 상당수 후보자들이 낙선한 악몽을 떠올리며 강력히 반발했다.
 
박 진 대변인은 “당선운동이든 낙선운동이든 합법적이지 않으며 피선거권을 제한하고 국민의 왜곡된 판단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본다”며 “일단 선관위에 위법성 여부에 대한 유권해석을 요구하고 단속과 예방을 강화해달라고 촉구하는 등 다각도로 대처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홍준표 의원은 “이미 지난 선거에서 실정법 위반으로 판명난 낙선운동을 다시 벌이겠다는 것은 초법적 발상이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며 “실정법 테두리내에서 가능한 일을 굳이 법을 어기며 하겠다는 의도를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강운태 사무총장은 “당선운동이 됐든 낙선운동이 됐든 좋은사람을 뽑자는 기본적인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그러나 시민단체가 그 기준을획일화해서 정하는 것보다는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지 후보의 선거운동원으로 등록해선거운동을 하는 등 법의 테두리안에서 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장전형 수석부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시민단체가 본격적인 정치활동을하겠다는데 반대하지 않지만 선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정치적으로 편향됐다는 비판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정동채 홍보위원장은 “차떼기와 지역주의에 매몰된 기성 정치권을 개혁해야한다는 국민들의 요구에 시민단체들이 나선 것”이라며 “우리당은 시민단체의 충정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존중한다”고 말했다.
 
이평수 공보실장은 “한나라당, 민주당, 자민련 등 야 3당이 정치개악을기도하고 기득권 지키기에 안간힘을 쓰는 한 낙선·낙천 운동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우리당은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반영하면서 국민들의 높은 기대수준에 맞춰 투명하고 엄격한 기준으로 총선 후보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민련=유운영 대변인은 “엄연히 불법으로 판결난 낙천·낙선 운동을 자행하겠다는 것은 우리나라를 무법천지로 만들겠다는 것으로 결코 용납될 수 없다”면서 “특히 정부가 불법 행위를 벌이겠다는 시민단체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불법행위를 방조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