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부평의 재정자립도는 전국자치단체 평균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등 부평지역 주민들은 부평의 중요도에 비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다고 말을 한다. 지역주민들은 '부평'이라는 말 그대로 '부강하고 평화로운'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이번 총선에서 당선될 2명의 지역국회의원이 힘써주기를 고대하고 있다.
■ '부평미군부대·경찰종합학교 이전부지 활용' = 올해 반환 예정인 부평구 산곡동 산 15 일대 59만㎡의 부평미군기지 터와 주변의 미개발지 6만㎡를 포함한 총 65만㎡ 부지의 합리적인 활용방안을 찾는 것은 부평이 풀어야 할 가장 큰 숙제다.
공단과 아파트 등으로 이미 도시화가 마무리된 부평이 활용할 수 있는 '마지막 땅'으로 불리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녹지조성 등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 부지가 활용될 수 있도록 18대 국회의원이 역할을 해주길 바라고 있다.
부평 6동 경찰종합학교 이전도 큰 문제다. 올해 학교 이전을 위해 437억원의 예산이 세워졌지만 추가적으로 430억원가량의 예산이 내년에 반영돼야 하기 때문이다.
경찰종합학교가 도시발전의 저해요소로 지적돼 온 만큼 추가로 필요한 예산을 확보해 학교 이전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지역 국회의원이 힘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 '재래시장 살리기' = 부평의 재래시장과 지하상가 등을 중심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부평에는 경인전철 부평역 인근에만 3천여개의 중소매장이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00년 초부터 부평지역에 입점이 잇따르고 있는 대형마트의 영향으로 경제상황이 어려워졌다는 게 지역상인들의 주장이다. 이에 따라 지역 상인들은 대형마트의 입점규제와 영업규제 등 내용을 골자로 하는 규제특별법을 제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주차장 신축 등 재래시장의 시설개선을 강화하고 인천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재래시장 및 지하상가를 구경할 수 있는 관광상품을 만드는 등 다양한 방안을 찾는 것에도 지역 국회의원들이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 '구도심 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 = 부평지역의 구도심 재생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 차원에서 국회의원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부평에서 예정된 구도심 재생사업은 주거환경 개선사업 2곳, 주택재개발사업 29곳, 도시개발사업 4곳, 노후아파트 재건축 사업 13곳 등 48곳에 이른다.
그러나 재개발 사업에 대한 주민 내부의 갈등으로 사업 진척이 늦어지고 있으며, 소규모 단위로 개발이 진행돼 도시기반시설이나 도시미관에 대한 고려도 부족한 편이다.
이에 따라 행정편의 위주로 돼 있는 관련법이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지원이 지역 국회의원에게 요구되고 있다.